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독자제언] 실업공황시대의 고용시장 위기관리

 

작년 하반기부터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가 실물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국내 채용 시장도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통계청은 지난달 고용동향 발표에서 취업자 수가 19만5천명(0.8%) 감소해 외환위기 이후 최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 실업률은 8.8%로 2005년 2월 이후 최고라는 것이다.

공식 실업자 수는 100만명에 육박하고 현재 체감실업자는 317만 명이 넘는 것으로 나와 있다.

그것은 실제 실업자 이외에 구직단념자,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 그냥 ‘쉬었음’이라고 말하는 사람 등 잠재적 실업자를 포함한 숫자다. 나라 전체로 보면 12%에 달한다. 더군다나 이런 빙하기의 취업난이 길게는 내후년까지 갈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실업자 대량양산 원인은 일단 경기 악화에 따른 기업들의 채용 규모 축소를 들 수 있다.

지속하는 경기 불황으로 기업 채산성이 악화하면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심지어 부도를 맞는 기업이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신규 채용을 줄일 수밖에 없고 채용을 아예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럼에도, 취업을 희망하는 고학력 청년층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여기에 대량해고로 발생한 재취업 희망 인구까지 더해져 실업자가 점점 늘고 있다.

무엇보다도 고용동향에서 볼 수 있듯이 20~30대의 취업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과거 신규 졸업자 공채 위주로 이루어지던 대기업의 채용 패턴이 경력직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됐다.

따라서 경력자들과 경쟁해야 하는 신규 졸업자들의 취업난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고교생의 80% 이상이 대학 진학을 해서 졸업 후 괜찮은 일자리를 얻고자 하지만 일자리는 그런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수급 불균형 현상이 취업난의 근본 원인이다.

이럴 때일수록 구직자들은 평정심을 가지되 무작정 취업을 늦추기보다는 눈높이를 낮춰 내실있는 기업을 발굴하는 등 공백기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용시장이 어려울 때일수록 취업 준비생들은 높은 급여 등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접근보다는 자신의 고용을 유지하는 데에 주력해야 한다.

무작정 취업을 늦춘다거나 취업 공백 기간을 1년 이상 오래 유지하면 안 된다. 기업들은 채용시 지원자가 어느 정도의 연봉을 받았는지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다만, 어떤 경력을 얼마만큼 쌓아왔는지가 중요할 뿐이다. 취업이 어려울 때일수록 자신의 경력을 어떻게 이어갈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톡톡 튀는 인재보다는 끈기 있고 성실한 인재를, 똑똑한 인재보다는 충성도 높은 인재를 더 선호하고 있다. 최근엔 기업의 채용이 복잡·다양화되고 있어 최신 정보를 얼마나 발 빠르게 받아들이고 집중적으로 준비하느냐가 중요해졌다.

요즘은 어떤 일을 하느냐보다 어떤 차별성을 갖고 있느냐가 더욱 중요한 시대다. 남과 똑같아서는 살아남기 어렵다.

전문성과 열정은 기본이고 그 위에 남과 다른 자신만의 색깔을 지녀야 한다. 매일 쏟아져 나오는 정보와 지식을 취사선택해 나만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야 한다.

기업들은 경기가 좋지 않을 때 급여보다는 고용에서 더욱 보수적이다.

고용시장은 경기의 영향이 늦게 반영되기 때문에 청년층과 신입직 고용시장이 풀리려면 경기의 불확실성이 거의 해소되는 시점이라야 한다. 기업들은 위기관리라는 명분으로 고용 규모를 줄이는 것만이 해결책은 아니다.

이럴 때일수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능력 있는 인재 발굴과 유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중소기업은 일자리 유지에, 대기업은 일자리 유지와 일자리 창출에도 앞장서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기업보다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은 구직자들에게 매력 있는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근무여건 개선 등 차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정부의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과 적절한 시장규제를 내용으로 하는 경제질서의 믿음도 확산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효과는 극히 일부분만이 반영될 수 있을 뿐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가 또 다시 불안정에 빠져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소비성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소득불평등을 해소하고, 투자를 장기적 안목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투자의 사회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경제질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