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시론] 학교별 수능 성적 공개 후…

 

최근 모 일간지에서 전국 고등학교별 수능성적을 공개한 이후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학교별 수능성적이 공개된 경위와 관련해서 국정감사 기간을 틈탄 모종의 음모설부터 정보 공개와 관련된 책임 소재 등등의 문제도 얘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논란의 핵심은 어쩌면 이미 우리가 다 알고 있었던 사실들, 하지만 관련 정보가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추측에 머물던 일들이 자료로서 확인된 사실들, 바로 ‘격차’의 존재가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번 학교별 수능 성적 공개를 통해 확인된 사실들은 이렇다. 분명히 지역간에 학력차가 존재한다는 사실, 공립고가 사립고보다 학력이 뒤처진다는 사실, 특목고가 일반고보다 학력이 우월하다는 사실, 지방에서 우수한 수능 성적을 거둔 학교들은 비평준화 지역의 학교이거나 자립형 사립고라는 사실, 한 지역 내에서도 월등한 성적을 거둔 몇몇 ‘학군’이 존재한다는 사실 등등...

이런 사실들을 접한 많은 일반 시민들은 새삼스럽게 그 내용에 놀랐다기보다는 “그럼 그렇지” 또는 “그런 줄 몰랐어”라는 식이다.

하지만 새삼스럽지도 않은 사실이 자료를 통해 확인되면서 그 속에서 우리는 또 새삼스럽지도 않지만 한동안 우리가 미처 고민의 범주에서 놓아버렸던 몇 가지 문제들을 다시금 고민하게 한다.

첫 번째 문제는 이렇다. 한 학교 내에서, 아니 한 학급 내에서 학력차가 매우 심한게 일반적인 현실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교사들은 어느 일정 수준에만 기준을 놓고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학생도 공부 못하는 학생도 놓칠 수밖에 없는 게 우리 현실이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만족할 수 없는 수업, 그 부족함을 학생들은, 학부모들은 학교 밖에서 찾아 헤맬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서 새삼 우리 사회의 사교육비 부담 규모를 말할 필요도 없다. 중요한 점은 대부분의 학교는 이러한 내부의 격차에 손을 쓸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이제는 짐작 수준을 넘어서 자료로서 확인된 이러한 격차에 대해 우리 사회에 마땅한 대안이 있는가 하는 점이다. 생각해볼 수 있는 대안은 두 가지 방향이 있다고 본다. 그 하나는 기왕에 자료로 확인된 격차, 그리고 그 우열의 경계에서 열등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학교들, 공립고, 지방고, 일반고, 평준화 지역의 비명문 학군 등등에 대한 교육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확인된 격차를 줄이고 좁히려는 노력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그것만이 전부일까?

상대적으로 수능 점수 따기에 열악한 여건을 가진 학교들의 교육력을 강화하면, 나머지 상대적인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학교들은 제자리에 멈춰 서있을 것인가. 우리 사회의 교육열은, 그리고 그 관성의 힘은 결코 수능과 대입의 경쟁의 장에서 선발 주자들이 그대로 후발 추적자들을 기다리게 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다른 하나의 방안을 고민해보아야 한다. 그것은 교육력 자체의 개념을 고민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학생이 교육과정에 이미 정해진 것을 얼마나 많이 담아내었는지 시험을 통해 평가하고 그 점수로 우열을 가리는 선발방식이 대세인 한 쉬운 일은 아니지만, 학생이 시험 잘 보도록 하는 것만이 교육력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해보자는 것이다.

시험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하지만 지금의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고 우리 사회의 주역인 시민으로서 살아나가는 데 필요한 힘을 찾을 수 있도록 돕고 그 힘을 키워주는 교육력, 잘 드러나지 않지만 그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창의력을 발휘시키는 교육력, 바로 이런 부분들이 바로 우리 사회에서 정말 부족한 교육력이 아닐까?

수능 성적 공개를 통해 확인된 학력차와 교육력의 차이는 어쩌면 학교 밖의 여건 차이로 인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격차를 시험 점수라는 형태로 확인한 것일 따름이다. 그 차이로 인해 우리 아이들의 삶이, 앞으로의 미래가 이미 규정되고 애써 노력해도 따라잡기 힘들어지고 있다는 점이 우리를 우울하게 하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 청소년들이 주역이 되어 살아나갈 가까운 미래에 필요한 삶의 힘을 누구나 키우고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점수, 시험에만 집중한 해법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진정한 의미의 교육력 회복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때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