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NGO칼럼]팔당상수원 수질 악화

 

난 2월 10일 언론을 통해 수도권 2500만 시민의 상수원인 팔당호의 수질이 4년 연속 악화되고 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이 결과는 환경부의 공식 자료에서 확인된 것으로 그 심각성이 더할 수밖에 없다.

환경부가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정리한 내용에 따르면 2009년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팔당댐 1측정 지점의 연평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4.4ppm으로, 2006년 3.3ppm에서 2007년 3.9ppm, 2008년 4.1ppm에 이어 3년 연속 악화되었다. 또한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도 2005년 1.2ppm에서 2006∼2008년 1.5ppm에 이어 2009년에는 2.2ppm으로 매년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강 하류의 상황은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의 구의 측정지점의 경우 2006년 3.5ppm이었던 COD가 매년 악화되어 2009년에는 5.0ppm으로까지 악화되었고, BOD 역시 2005년 1.3ppm이던 것이 지난해에는 2.5ppm으로 크게 악화되었다. 이에 따라 한강 하류의 수질은 환경부의 목표치인 2급수 수준이 아니라 3급수 수질로 변화하였다. 3급수는 고도(高度)의 정수 과정을 거쳐야만 식수로 사용할 수 있고, 수영 등 친수 활동을 할 수 없다.

팔당호에서 한강 하류까지의 수질 조사에서는 대장균 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팔당호와 행주대교 사이 11개 지점에서 검출된 대장균 수는 100mL당 평균 3만8466개로 2000년(9277개)보다 4.1배로 증가했다. 현행 수질기준은 대장균이 100mL(종이컵 반잔 정도)당 5000개를 넘을 경우 ‘등급 외(外)’로 분류하는데 11개 지점 중 9개 지점이 수질등급을 매길 수 없을 정도로 오염됐다.

문제의 심각성은 환경부나 경기도 등 팔당상수원 수질 보전에 책임 있는 주체들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팔당상수원과 한강 하류 수질 개선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음에도 오히려 수질은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999~2005년까지 환경부는 2조3천억원의 예산을 팔당호 수질 개선사업에 투입했다.

환경부에서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33조원의 예산으로 한강을 비롯한 4대강 수질 개선과 보전에 나선다고 발표하고, 국가 수질 측정망과 수질 환경기준 항목을 늘리고 수질오염총량제를 확대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해 왔다.

경기도도 2006년 김문수 도지사의 당선과 함께 ‘팔당상수원 1급수 만들기 종합대책’을 경기도정의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2010년까지 1조5천억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렇듯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며, 의욕적인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결과적 수질 악화로 나타나고 있다. 결과만을 놓고 본다면 기존 계획의 실효성이 의심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렇듯 심각한 상황에서도 환경부와 경기도 모두 팔당호 수질 악화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책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단지 2009년 강수량이 줄어 수질이 악화됐다는 변명만이 들린다.

더욱 문제인 것은 수질 악화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책도 없는 상황에서 수질개선이 전제되어야 할 각종 개발계획이 팔당상수원 인근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확대 시행에 따라 팔당 상수원 수변구역에 위치한 1320㎡(400만평)의 에버랜드 관광단지 개발 계획의 허가가 눈앞에 있다. 또한 상수원 보호를 위한 특정유해물질 규정에 의해 구리 공정의 도입이 불가능했던 이천 하이닉스 반도체 신증설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수질 악화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4대강 살리기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남한강 물을 가두는 강천보, 이포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4년간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팔당상수원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면 무엇보다 먼저 원인 분석과 대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원인 분석과 대책 없이 팔당 상수원 주변의 개발만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이에 따른 수질 악화는 고스란히 2500만 수도권 주민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다.

환경부와 경기도의 시급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