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만수상태의 저수지가 두려운 이유

지나치게 많아도 걱정, 적어도 걱정인 것이 물이다. 때마침 장마철인데다 지방에 따라서는 홍수 피해가 잇따르고 있어서 긴장된 분위기다. 아직은 장담할 단계가 아니지만 경기도지방은 큰 비가 내리지 않아 비 피해가 없다. 대신 도내에 산재해 있는 대소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이 80%에 육박하고 있어서 수방대책 차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보도된 바에 따르면 도내에는 크고 작은 저수지가 408개에 달하는데 그 동안 꾸준히 내린 비 때문에 저수지마다 만수상태에 가깝다는 것이다. 물은 귀중한 자원일 뿐 아니라, 자연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젖줄이다. 때문에 홍수 따위의 천재지변이 아니라면 다다익선(多多益善)의 존재이다.
특히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생각하면 만수상태의 저수지는 결코 나쁜 것도 아니고, 걱정할 일도 아니다. 문제는 갑작스런 폭우나, 폭우로 인한 대홍수가 일어났을 때 만수상태의 저수지가 물난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데 있다. 때문에 농업기반공사는 집중호우로 인한 비 피해를 막기 위해 70%의 저수율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같은 권고는 설득력이 있다. 문제는 권고를 하는 쪽과 권고대로 준수하는 쪽의 생각과 행동이 제각각이어서, 대비책 마련에 차질을 빚고 있는데 있다. 예컨대 소규모 저수지는 시·군이 관장하고, 대규모 저수지는 농업기반공사가 관장하고 있어서 통제의 일원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농업기반공사는 수리(水利)에 관한한 전문성과 고도의 기술을 겸비하고 있다.
반면에 시·군의 경우는 전자와 동일한 수준으로 보기 어렵다. 문제 제기는 여기서 시작된다. 저수지의 규모와 관계없이 저수량의 통제와 조절 권한을 어느 특정기관이 관장하는 일원화가 그것이다. 이럴 경우 떠오르는 대안은 농업기반공사로 하여금 전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통합관리가 생각만큼 간단치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문제점이 훤히 드러나 있는데도 방법론 때문에 문제해결을 미루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어떤 경우에도 수마로 의한 재난이 없기를 바라지만 구실만 대고 있다가 큰 변을 당하는 일이 없어야하겠기에 버거운 과제인줄 알면서도 제언하는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