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데스크칼럼] ‘건설업 위기’ 모두의 책임이다

 

“공공 공사 물량이 줄고 민간 건축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등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는 한 건설사의 추가 부도사태는 불가피 할 것이다”

“PF 폭탄이 터지면 건설업 자체가 붕괴할 것이다. ‘줄도산’을 막기 위해서는 PF 대출이 초래한 유동성 리스크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다.”

저축은행들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화로 올해 무너지는 중견 건설업체들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와 건설업계가 ‘위기의 5월’을 맞고 있다.

저축은행 PF 상환 요구에 그룹 계열 건설사는 물론 비교적 탄탄한 중견 건설사들마저 쓰러지고 있는 것이다.

올 들어 월드건설, 진흥기업, LIG건설에 이어 지난달 도급순위 34위인 삼부토건과 35위의 동양건설산업이 이틀 간격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건설업계에 위기감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건설업체들의 잇단 도산의 원인에 대해 공공공사 발주량 급감, 부동산 경기침체의 장기화 등 건설사들의 ‘먹거리’가 바닥난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금융규제 강화로 총 산업 대출금 중 건설업 대출 비중이 2009년 10.1%에서 지난해 7.7%로 줄어든 데다 저축은행 위기로 심리적 불안감까지 가중되면서 건설사 자금난이 더욱 심해진 것이 ‘건설업 위기’의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건설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건설면허 1호 업체인 삼부토건을 법정관리로 내몬 것은 과도한 사업 확장에 따른 PF대출이 아니라 저축은행들의 부실에 따른 무리한 채권 회수가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저축은행의 구조조정과 LIG건설 사태 등으로 PF 채권 부실화를 우려한 저축은행들이 자금줄을 죄면서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부동산 PF대출 만기가 2분기에 몰려있다는 점이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은 25조원에 달하고, 그 중 14조 원 가량이 5∼6월에 집중돼 있어 PF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건설업계의 줄도산은 피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물론 이 같은 ‘PF 대란’의 일차적 책임은 건설사에 있다.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PF 사업을 벌려놨기 때문이다. 또 사업성을 외면한 채 무리하게 경쟁적으로 대출해 줬던 금융권도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작년 말 저축은행의 총 대출 중 부동산 PF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은행의 6배에 이른다는 분석도 나왔다. 그래 놓고 이제 와서는 자기들이 죽게 생겼으니 빌린 돈은 당장 갚으라 하고 우량 건설사들에 마저 돈줄을 막고 숨통을 조이고 있다. 급기야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최근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불러 쓴 소리를 했다. “건설사의 PF에 대한 소극적 금융권 지원이 건설사 경영에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라고 일침을 가한 것이다. 건설업계를 덮친 줄도산 공포가 금융권의 무차별적인 돈줄 죄기와 무관치 않다는 뜻이다. 우리경제 전반에 미칠 충격파를 예상할 때 건설업계의 줄도산만은 막아야 한다. 줄도산이 말 그대로 현실화되면 금융 부실은 물론 하도급업체의 연쇄 도산과 입주 예정자들에게 까지 피해가 이어져 우리 경제에 큰 충격을 줄 게 뻔하다. 당장 필요한 것은 금융권이 PF 대출에 대한 조기 환수를 중단하고 회생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 PF 만기 연장 등으로 숨통을 틔워주는 일이다.

아울러 사업 리스크는 전혀 부담하지 않고 수익만 챙기려는 금융권의 행태도 개선돼야 한다. 은행들이 돈만 빌려줄 게 아니라 지분투자를 해서 책임을 나누는 등 PF의 구조적 문제점을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부실사업 정리 등 건설사들의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업계가 그동안 경기회복을 기대하면서 구조조정을 미뤄왔던 만큼 이제는 강력한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할 시점이다. 정부 역시 부실 건설사에 대한 구조조정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 대주단 협약 제도를 손질하고 작년 말 효력이 끝난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의 부활도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한다.

멀쩡한 우량 건설사들까지 쓰러지는 사태를 막으려면 더 늦지 않게 정부가 앞장서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때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