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아침의 향] 옛 서울역과 ‘문화역 서울 284’

 

지난 주에는 옛 서울역에 방문할 일이 있어 모처럼 서울에 다녀왔다. 2004년에 KTX가 개통되면서 옛 서울역은 ‘철도’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한 동안 방치돼 있었다. 문화재보호법상 ‘사적 제284호’로 지정된 옛 서울역사는 2007년 8월이 되면서 문화체육관광부가 관리를 맡게 됐다. 그러면서 옛 서울역사를 복원해 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논의가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작됐다.

이후 여러 연구와 다양한 행사의 시범적인 개최를 통해 문화공간으로서의 운용가능성에 대해 타진한 끝에 공연과 전시, 이벤트를 목적으로 올해 8월 11일 ‘문화역 서울 284’란 이름으로 시민에게 개방됐다.

서울역 뒷편(서부역)으로 넘어가는 육교로 가기 위해서는 옛 서울역 부속건물을 지나가야 했는데, 예전에는 지저분하고 냄새가 나서 건너가려면 마음을 잡고 건너가야할 정도였다. 그런데 이제는 깨끗하고 환한 공간으로 바꿨고, 그 부속건물에서 국제심포지엄이 열릴 정도로 인상이 달라졌다. 그렇게 감탄하면서 사진을 찍으며 돌아다녔는데, 어느 순간부터 실망스런 기분을 갖게 됐다.

부속건물이라서 급하게 공사를 완공한 것은 아닐텐데,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 설치한 문과 창문, 기존의 옛 붉은 벽돌의 벽 사이를 새로 찍어낸 붉은 벽돌로 얽기 설기 채워 넣은 것으로 밖에는 달리 생각할 수 없는 곳들이 곳곳에 있었다. 건축물의 가치를 결정짓는 것 중의 하나가 ‘공사의 마무리’인데, 의도적으로 그렇게 한 것이든 아니든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 하나는 복원하면서 사용한 색채인데, 옛 서울역 건물에 사용된 색은 조금 짙은 연두색으로 색의 밝기(명도)와 맑고 탁한 정도(채도)가 낮은 색으로 칠해져 있었다. 옛 서울역 건물은 나무가 사용된 부분은 대체로 어두운 갈색 혹은 흑고동색 계열의 색인데, 복원하면서 전체를 일치시키지 않고 일부분에는 연두색을 사용한 것이었다.

가장 필자의 마음에 든 공간은 옛 서울역 건물 정면 출입구로 들어가 왼쪽으로 꺾어 그 끝에 있는 계단을 올라가면 2층이 되는데, 그 곳의 공간 두 곳(그 중 하나는 근대시기에 이발소였던 것으로 기억된다)에 조성된 전시공간이다. 전시하고 있는 것은 복원공사 시에 나온 벽동 등의 다양한 부재와 부속물들로 옛 서울역에 어떠한 재료와 부속들이 사용됐는지를 알 수 있는 자그마한 두 개의 공간이다.

여러 이름이 붙여진 공간들을 다니면서 씁쓸한 기분을 감출 수 없었다. 어설프게 전시하고 있는 예술작품들도 애초에 이 공간을 문화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하였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문화역 서울 284’ 홈페이지에 가보았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있어야 할 층별 안내도조차 없어 옛 서울역 내부 공간에 대해 알 수 없게 돼 있었다. 그리고 운영주체를 보니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라는 공공기관으로 돼 있다. 이쯤 되니 옛 서울역의 문화공간화 사업이 왜 이런 결과를 가져왔는지 충분히 짐작이 갔다. 우선 옛 서울역을 복원하면서 그 목적으로 서울역 주변 지역과 4대문 안의 역사문화자원과의 연계 고려가 미흡했고, 그로 인해 옛 서울역은 고립된 공간으로 조성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둘째는 옛 서울역 앞의 공간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소관이라 옛 서울역사와 함께 어우러지는 공간의 조성이 어렵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세 번째로는 문화공간의 운영은 해당 공간을 채워줄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이라는 컨텐츠가 있어야 함에도 공공기관에서 그 운영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프로그램 기획과 개발이 아니라 ‘업무’로 처리될 우려가 큰 것도 있다 할 수 있다.

네 번째로는 적절한 전문가가 관여했어야 하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즉 근대건축물, 문화프로그램 기획개발, 홍보 등 분야별 전문가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이를 전체적으로 아우르는 옛 서울역 복원과 운영을 고려할 줄 아는 전문가가 있었어야 하지 않나 하는 것이다.

이 네 가지를 잘 고려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간이 해당 지역에서 어떠한 중요성과 위치를 가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에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 지가 정해져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추구해야 하는 바(vision)’인 것이다. 경기도는 물론 여러 지자체에서 옛 건축물과 공간을 복원 혹은 리모델링해 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경우에 참고가 되길 바란다.

/오민근 문화체육관광부 시장과 문화컨설팅단 컨설턴트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