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시론]조성범"응답하라! 대선 후보들이여"

 

제18대 대통령 선거가 35일 앞으로 다가왔다. 유력 후보들은 나름의 정책행보를 이어가지만, 대다수 유권자가 볼 수 있는 건 후보자에 대한 이미지뿐이다. 유권자들이 후보를 접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는 미디어뿐이다. 현대 정치를 미디어정치라 칭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미지에는 많은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 현 시대를 대표하는 비판적 지성인 노암 촘스키와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권위자 에드워드 허먼은 일찍이 여론조작의 위험성을 설파한 바 있다. 이른바 ‘선전모델’이 그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미디어의 선전 시스템은 언론의 체내 깊숙이 녹아들어 있다. 언론은 이미 자유시장경제의 논리와 반공주의 같은 지배 이데올로기에 종속되어 있다. 따라서 언론은 특정 권력집단의 이해와 정치적 의제를 대변하고 강화하는 여과장치이자 선전도구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미디어가 만들어낸 이미지가 새로운 현실이자 실재라는 프랑스 철학자 장 보드리아르의 주장도 있지만, 나는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적어도 우리 사회에서는 그렇다. 이미지가 실재로 각인되는 순간 후보의 진정성을 아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런 미디어의 환경 속에서 각 후보들의 정책적 차이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누구나 민생경제와 일자리를, 경제민주화를, 교육 개혁을 이야기한다. 그럴듯하게 포장된 이미지만 난무하고 있다. 그러니 진정성을 의심할 수밖에. 그럼에도 세심히 들여다보면 교육정책의 차별성을 발견할 수 있다.

늘 그랬듯이 이번에도 교육정책의 근간은 사교육비 절감에서 출발한다. 교육을 경제적 논리로만 보면 사교육비가 먼저 눈에 들어오게 마련이다. 그러다 보니 입시제도의 변화가 교육정책의 핵심이 된다. 그러나 입시제도만 바꾸는 정책은 결코 성공하지 못한다. 사교육기관은 변화하는 입시제도에 빠르게 적응하기 때문에 입시제도의 변화는 새로운 사교육의 수요를 창출할 뿐이다. 이는 그간의 경험을 통해 확인하고 있는 바이기도 하다. 물론 우리의 입시제도가 왜곡되었다는 진단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문제는 방법이 아니라 가치와 철학이다. 그간 우리는 선거 때마다 방법론을 가지고 갑론을박했을 뿐이다. 그래서 어느 정권도 교육개혁에 성공하지 못한 것이다. 사교육을 잡고 공교육을 강화하면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은 줄어들 수 있다. 그렇지만 학생의 심리적 부담은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 학생의 부담을 덜어주려면 경쟁을 완화하고 학습노동을 줄여야 한다. 이런 문제를 읽어낼 수 있는 혜안은 인권감수성에서 나온다. 교육을 인권의 눈으로 바라보자. 그러면 해법이 보인다. 모든 교육정책은 당사자인 학생의 인권을 중심에 놓고 사고해야 한다.

인권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결코 두려움의 대상도 아니다. 비상식을 상식으로 돌려놓는 시작에 불과한 것이다. 인권의 외연은 끊임없이 확장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우리 교육 현실에 인권적 가치가 스며들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교육문제를 거대담론으로만 들여다보지 말자. 해법은 늘 현장에 있다. 교육문제의 해법도 학교에서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들이 해법을 알고 있다. 다만 이들의 목소리가 전달될 수 있는 통로가 막힌 것이 문제다. 각 후보들에게 묻고 싶다. 과연 교사와 학생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교육문제는 경제논리의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 교육에서 아이들의 삶이 보인다. 교육은 교사의 삶과 학생의 삶이 만나는 것에서 시작한다. 학교는 여전히 학생의 삶을 외면하고 있다. 탈학교 청소년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증거하고 있다.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첫 번째 과제는 만남과 소통을 가로막는 것을 없애야 한다는 사실이다.

학교는 학생, 교사 모두에게 힘든 공간이다. 학생은 철저히 배제된다. 부정적인 학교 현실에 대한 책임은 모두 교사들에게 떠맡기는 현실. 다가오는 12월 19일 우리는 진정한 교육대통령을 기다리고 있다. 이제 각 후보들은 응답하라! 교육을 인권의 눈으로 본 적이 있는지를. 당신들의 교육정책은 얼마나 인권적인지를.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