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데스크칼럼]복잡다단 그리고 이병희

 

복잡다단(複雜多端)하다.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남북관계도 그렇고, 또 늘상 그런 정치판의 얘기만이 아니다. 수도권의 화두가 전국적인 바로미터가 되어버린 지금, 경기도와 인천판의 현실은 한 마디로 복잡다단 그 자체다. ‘수원형 모델’이 그렇고, ‘용인 경전철’이 그렇다. 여기에 ‘천당 아래 분당 옆 판교 아래 광교’가 그렇고, 거덜나버린 곳간 쳐다보는 눈길들이 그렇다.

일단 수원형 모델은 잘 될 줄 알았다. 그리고 잘 되어야 한다. 전국 최대 기초지자체란 허울 좋은 오명만 뒤집어쓴 채 오직 자부심 하나로, 공직자들의 희생어린 봉사와 이해심 많은 시민들의 속 깊은 인내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견뎌내며 스스로 도시성장을 만들어 온 역사는 그렇게 되어야 한다.

또 수원은 물론 창원, 고양, 성남, 용인 등 전국 도시들의 성장 모델로 자리 잡은 100만 도시들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서도 그 정도쯤은 즉각 법으로 지원해야 되는 게 정치의 도리다.

그러나 3급 직제와 1국 3과 신설, 2014년 수원형 모델 본격 시행 등을 담은 본지의 단독 보도 이후 일부에서 참으로 수상한, 그리고 어이없는 움직임들이 들린다. 기가 막힌다. 그저 막연한 소문이기를 바랄 뿐이다. 개인적 욕심을 위해 역사를 거스르고, 국민을 편하게 한다는 정치를 악용하는 작태들은 늘 준엄한 심판을 받는다는 불변의 진리를 망각하지 말기 바란다.

‘재앙에 가까운 돈 먹는 하마’라며 손가락질 받기 바쁜 용인경전철도 그렇다. 2007년 10월 22일 용인경전철에 대한 본지의 최초 지적기사 이후에도 침묵은 계속됐다. 더욱이 용인시의회의 조사특위는 구성 요구가 제기된 지 무려 4년여가 흐른 2011년에야, 그것도 검찰이 용인경전철에 대해 칼을 빼들고 나서 의원들의 무관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에 등 떠밀리면서 진행됐다.

그것만이 아니다. 용인경전철은 여전히 빼먹기 좋은 곶감으로 전락했다. 언론은 물론 정치인들에게도 존재감을 알리기 참 좋은 대표적 소재거리라는 현실은 참 아이러니다. 2010년 지방선거를 전후해 ‘김학규의 개통불가론’을 무섭게 질책하던 이들은 어느 샌가 ‘개통 이후 무용론’으로 돌변했다. 그리고 잠 못 자고 수습하기에도 시간이 모자란 김학규와 용인시는 샌드백이 됐다. 머리를 맞대고 돌파구를 찾기에도 여념이 없는데 상황은 녹록지 않다. 18km가 넘는 노선의 광활한 공간에 광고판 하나 세우는 것도 못한다. 안타깝지만 현실이다.

변함없이 결론은 국회요, 또 정부와 청와대다. 그리고 또다시 문제는 바로 ‘법’이다. 법에도 없는 인구 115만의 ‘광역급’ 도시에 대한 규정과 제도적 뒷받침도 법이고, 용인경전철의 숱한 난제를 돌파할 근거도 역시 법이다. 분발에 대한 기대는 더욱이 도내 출신 의원들에 대한 기대와 의존은 그래서 크다.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지속적인 도시성장을 위한 밑거름도, 화를 복으로 바꾸고 더불어 함께 미래의 문을 열어가는 것의 선두와 끝에도 빠짐없이 ‘정치’가 있기를 바라는 것도 비약은 아니다.

그리고 산적한 아쉬움의 끝에는 어른들께서 늘 습관처럼 말씀하시던 고(故) 이병희 의원이 떠오른다. 용인 출신의 수원을 뛰어 넘어 경기도를 대표하던 ‘이병희 같은 정치인 하나만’이라는 탄식의 주인공.

경기도청과 삼성전자, 선경합섬, 한일합섬 등을 유치하고 도시발전의 씨앗을 뿌려 수원의 역사는 물론 경기도 역사까지 송두리째 바꾼 초석을 놓았던 사람.

다시 주제는 현재다. 복잡다단은 바뀌지 않았다. 그리고 이제 실마리가 보인다. 시작이 반인 것은 이래서 그렇다. ‘최초의 재선 도지사’ 김문수를 바라보는 눈의 깊이는 그래서 무겁다.

어디 김문수뿐이랴. 염태영과 김학규는 물론 남경필과 김진표, 그리고 다시 떠오른 손학규에 이르기까지 시선의 끝에는 여전히 이병희가 머문다. 그게 인정이고, 또 정치다. 눈(眼)은 잠들지 않는다. 분발을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