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이달의 독립운동가 전쟁 영웅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일제의 식민통치에 폭탄으로 맞선 의열투쟁의 선봉장인 이성구(1896~미상) 선생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또한 10월의 6·25전쟁영웅으로는 천안지역 전투에 참여해 북한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다 산화한 로버트 마틴 미 육군 대령을 선정, 발표했다.

 

 

 

이성구 선생은 1919년 3·1운동 당시 평안북도 선천면사무소 방화사건을 주도해 징역 10년 형을 받았을 뿐 아니라, 병인의용대 소속으로 상해 일본영사관에 2차례 폭탄을 투척해 징역 7년을 선고받고 경성감옥에서 옥고 중 순국했다.

1896년 평안북도 선천군 수청면 고동읍에서 태어난 이 선생은 독립운동 기간 중 이수봉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졌으며 이 외에도 이동농, 또는 김동농이라는 이명을 사용,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의열투쟁을 전개했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될 때 선생은 선천읍에 위치해 있던 선천면사무소 공격해 방화사건을 주도했다.

이 선생은 보안법위반 및 방화소요죄로 징역 10년의 판결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일제의 고문과 가혹행위로 병보석을 얻어 1923년 5월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자 이를 이용해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망명 후 1923년 9월 상해 독립신문사에 입사한 이 선생은 2년 여 동안 식자공으로 근무하면서 독립운동 상황을 살피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 마침내 의열투쟁의 선봉에서 일제에 항거하기로 결심, 1926년 1월 병인의용대에 참여했다.

1926년 병인의용대는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모진 학대와 고문 등 가혹행위를 받고 재판도 받지 못한 채 숨을 거둬, 독립운동 세력에게 증오의 대상이었던 상해 일본총영사관 폭파를 세 차례나 단행했다.

이 선생은 강창제, 김창근 등 대원과 함께 시한폭탄을 영사관으로 투척해 창고를 파괴, 일경 2명에게 중상을 입히기도 했다.

그 후 선생은 1929년 1월 한국노병회 특별회원으로 가입해 임시정부 후원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1930년 6월 상해 한국독립당에 가입 후 기관지인 ‘상해한문’의 기자로 활동하던 이 선생은 1932년 10월 이봉창 의사가 일본에서 순국하자 애도의 글을 실어 배포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윤봉길 의사의 홍구공원 의거 후 독립운동가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와 수색이 진행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상해 한인친우회 위원장 유인발을 저격하는 등 일제의 침략통치에 적극 항거했다.

그러나 일제의 계속되는 단속과 검거로 인해 결국 1933년 10월 12일 프랑스 조계에서 체포됐고 이듬해 3월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 7년의 형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순국했다.

정부는 1968년 선생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했다.



 

 

 

10월의 전쟁영웅으로는 최악의 상황에서 전우들을 격려하며 인민군들과의 접전을 지휘했던 로버트 마틴 대령이 선정됐다.

6·25전쟁 발발 초반에 오산 죽미령에서 미국 스미스 기동대가 북한에 참패했으나, 24보병사단장 딘 소장은 그 전말을 들은 후에도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는 여전히 34보병연대가 평택~안성 축선에 방어선을 설치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으나 그것은 큰 오산이었다.

그의 부대가 훈련과 장비 부족을 비롯해 전투력이 총체적으로 저하됐음에도 딘 장군은 그의 일선 부대들이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리라고 본 것이다.

긴급 투입된 미군 제24사단 제21연대는 한국의 대동맥과 같은 경부선을 중심으로 인민군과 대치, 북한인민군 주력부대를 상대한 전투를 했다.

7월 3일 제21연대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제1대대가 오산전투에 배치, 7월 5일 죽미령에서 밀려 후퇴하고 제34연대가 투입되는 작전이다.

미국 보병 제24사단장 딘 소장은 서울 남방의 평택, 천안전선의 방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1950년 7월 7일 딘 소장은 자기의 명령도 없이 평택에 주둔하던 제34연대 1대대가 천안 이남으로 후퇴하고, 안성에 배치한 제3대대도 20마일 남방으로 후퇴했다는 사실에 분노했다.

공산군은 탱크를 앞세우고 천안 시가지로 돌입해 반응하는 미군과 시가전으로 응전했다.

천안 북방 부대동, 신부동에서 패전한 미군은 천안과 목천의 경계 도리티고개 천안삼거리로 후퇴해 포진했다.

제34연대가 천안전선에서 혼전을 거듭하며 지연방어 작전을 실시하고 있을 때 연대장 교체명령이 발표됐다. 불과 두 달 전에 취임한 라블리스 대령이 해임되고 로버트 마틴 대령이 신임 연대장으로 교체된 것이다.

7월 8일 오전 천안지역을 방어하던 마틴 대령은 상황이 절망적으로 변했지만 여전히 전투를 수행했으며 소규모 병력을 이끌고 대전차 공격을 지휘했다.

그러던 중 천안 대로 동쪽의 허름한 집에 위치해 있던 대령은 진격해 오는 T-34전차와 맞섰다.

마틴 대령의 사수역을 하던 크리스텐손 상사에게 바주카포를 장전시켜 탱크를 향해 발사했는데, 탱크에는 명중했으나 적의 탱크에서 발사한 85㎜ 포탄을 맞고 마틴 대령은 장렬하게 산화했다.

제공l국가보원처 수원보훈지청 정리l이상훈 기자 lsh@kgnews.co.kr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