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데스크칼럼] 지방체육 살리기 위한 정부 대책 촉구한다

 

경기도체육회가 지난 24일 제44회 경기도체육상 시상식 및 제94회 전국체육대회 봉납식을 끝으로 사실상 올 한해 체육 행정을 마무리 했다. 경기체육은 지난 2월 강원도 등지에서 열린 제94회 전국동계체전과 지난 10월 인천광역시 일원에서 열린 제94회 전국체전에서 각각 종합우승 12연패를 달성했으며 전국장애인체전 8년 연속 종합우승, 전국생활체육대축전 13년 연속 최다종목 우승 등 엘리트체육은 물론 생활체육, 장애인체육 등 모든 체육분야에서 웅도(雄道)의 명성을 이어갔다.

제44회 경기도체육상 시상식은 지난 1년 동안 값진 땀방울로 경기체육을 빛낸 선수들을 격려하고 축하하는 자리였다. 하지만 그 자리에 함께하지 못한 체육인도 있다. 그들은 바로 올해를 끝으로 팀이 해체돼 더 이상 경기도를 대표해 각종 대회에 출전할 수 없게 된 선수와 지도자들이다. 경기도는 2002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전국동계체전과 전국체전에서 종합우승을 차지하며 체육웅도의 자리를 지켜왔다. 하지만 2010년 용인시와 성남시가 직장운동경기부를 무더기로 해체하겠다고 밝혀 도내 체육계를 술렁이게 한 데 이어 이듬해인 2011년에도 도내 8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재정악화와 성정 미달 등을 이유로 운영 중이던 직장운동경기부에 대한 해체 수순을 밟으면서 또 한번 도내 체육계를 흔들어 놨다.

지방자치단체의 직장운동경기부 해체가 경기도만의 문제는 아니다. 장기간 경기침체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 악화되면서 직장운동경기부를 해체하거나 축소하는 경우가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악화로 직장운동경기부가 가장 먼저 희생양이 되고 있다. 기업에서 운영하는 실업팀의 해체는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2009년 1천126개이던 실업팀이 2012년 885개로 3년 사이에 241개 팀이나 해체됐다. 이 가운데 지방자치단체가 운동하던 직장운동경기부도 60여개가 해체돼 사라졌다. 이처럼 지방자치단체의 직장운동경기부와 기업의 실업팀 해체는 곧바로 대한민국 체육의 약화로 이어진다.

2010년과 2011년 지방자치단체의 대규모 직장운동경기부 해체 홍역을 겪은 경기도는 이후 대규모 해체는 없었지만 일부 종목의 해체가 계속 이어졌고, 올해도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몇 종목의 선수들에게 해체를 통보했다. 2년 간 직장운동경기부 해체로 홍역을 겪은 경기도는 2012년 경북에서 열린 전국체전과 지난해 대구에서 열린 전국체전에서 종합우승을 달성하긴 했지만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직장운동경기부의 해체가 경기체육의 전력약화로 이어진 것이다. 올해 일부 종목이 해체되면서 경기도는 내년 제주에서 열리는 제95회 전국체전에 일부 종목을 출전시킬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 중 하나가 요트다. 도내 단 하나뿐인 평택시청 요트부가 올해 말로 해체되면서 경기도는 내년 제주 전국체전 요트종목 일반부에 선수를 출전시킬 수 없게 됐다.

지방자치단체의 직장운동경기부는 물론 기업에서 운영하는 실업팀의 잇따른 해체는 기존 선수들이 운동을 그만둬야 하는 상황은 물론 학생 선수들이 진출할 곳도 줄어들어 국가대표를 꿈꾸는 많은 스포츠 꿈나무들을 좌절에 빠뜨리고 있다. 급기야 지난달 초 전국시도체육회사무처장협의회는 고사위기에 놓인 지방체육을 살리기 위해 중앙정부가 나서야 한다며 김정행 대한체육회장에게 지방체육 활성화와 한국스포츠의 선진화를 위해 중장기 발전 방안을 제안했다. 하지만 중앙정부는 아직까지 그 제안에 대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지금도 지방자치단체의 직장운동경기부와 기업의 실업팀 해체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2013년 계사년을 마무리 하고 2014년 갑오년을 앞둔 시점에서 지방체육을 살리기 위한 중앙정부의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 지구촌 스포츠 축제에서 스포츠 강국의 명성을 이어온 대한민국이 세계인들의 기억에서 사라지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