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준성칼럼]설렘·떨림으로 시작되는 만남과 헤어짐

 

꽤 오래전의 일이다. 10여년 전 서울 관훈동 학고재 화랑에서 개최된 전시회에 다녀온 적이 있다.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로 명성을 떨쳤던 유홍준 교수가 꾸몄다는 호기심도 있었으나 유 교수 광팬인 후배의 성화에 떠밀려 함께 시간을 냈던 기억이다. 지금 많은 것이 생각나진 않는다. 하지만 화랑에 도착한 나는 일단 전시회 내용이 마음에 들었던 기억은 새롭다. 조선시대 만남과 헤어짐을 주제로 한 ‘서화’와 ‘시’를 전시한 것이었는데 인상도 깊었다. 그리고 그것이 만남의 기쁨을 그림으로, 또 헤어짐의 아쉬움을 글씨로 표현한 조선시대 문인들의 계회도(契會圖)와 전별시(餞別詩)라는 것을 알고 엉뚱한 상상도 했었다. ‘비록 전문 글쟁이는 아니지만 글로써 밥을 먹으니’라는 어쭙잖은 생각으로 ‘나도 해봐야겠다’라며. 지금까지 실천 못하고 있는 숙제 중 하나지만 요즘 같은 시기엔 더욱 생각난다.

이런 기억이 떠오른 것은 엊그제 지인들과의 모임에서였다. 점심을 겸한 자리에서 선거에 떨어진 후보에 대한 얘기가 화제에 올랐다. 참석자 중 한 사람이 이렇게 토로했다. 이번 선거 운동 기간 내내 이것저것 준비하고 챙기느라 밤늦게까지 일했단다. 비록 작은 일이었지만 자료를 만드느라 생고생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선거 결과가 좋지 않게 나오자 자신을 위해 열심히 뛴 사람들은 안중에도 없는지 “그동안 고생했다”는 말 한마디 없었단다. 패배자가 무슨 경황이 있으랴 생각도 했지만 선거 전날까지 아낌없이 도움을 받아놓고 뒤도 안 돌아보고 나 몰라라 내뺀다면 어찌 좋은 소리를 듣겠는가 하는 게 요지였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며 만남이 소중한 만큼 헤어짐 또한 소중하다는 평범한 진리가 생각나면서 10여년 전 기억이 되살아난 것이다.

고 피천득 선생의 ‘인연’은 사람 사이의 만남과 헤어짐에 대한 잔잔한 여운으로 읽는 이의 가슴을 아리게 한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없이 겪게 되는 만남과 이별을 통해 다양한 감정의 결을 제시,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도 해서다. ‘인연’에서 보듯 사람으로서 갖는 심정의 기복, 즉 감정의 폭이 깊고 넓게 요동치는 계기는 어떤 대상과의 만남과 이별이 아닌가 싶다.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도 있지만 오랫동안 살던 곳과의 이별도 있듯 만남과 이별은 꼭 사람과의 관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만남은 상대방 또는 낯선 환경과 사물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호기심이라는 감정을 선물도 하지만 이별은 대체로 아픈 감정도 준다.

이렇듯 만남과 헤어짐의 과정을 한마디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칙도 없다. 각각의 관계마다 독특한 점들이 있으며, 그들이 처한 상황 역시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설렘과 떨림으로 시작되는 만남은 그 시작에서 기대한 것처럼 항상 아름답게 지속되진 않는다. 많은 경우 마음에 생채기를 내는 헤어짐을 경험하기 일쑤여서 더욱 그렇다. 꼭 사랑하는 사람 사이가 아니라도 흔하디흔한 일이다.

언젠가 ‘사회적 교환 이론’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사람의 관계 형성은 비용과 이득에 대한 주관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논리다. 즉, 비용보다 이득이 많다고 생각하면 그 관계는 형성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비용이나 이득에는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부분이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관계에서 기대하는 보상 수준 역시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쉽게 말하자면 많이 기대하는 사람들보다 적게 기대하는 사람들이 관계에서 더 큰 만족을 보인다는 것이다.

6·4 지방선거가 끝난 요즘 인수인계가 한창인 지역 정가 분위기가 이 모양새다. 만남과 헤어짐이 많아서다. 하지만, 과거의 경험을 통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며, 자신이 원하는 만큼 상대방을 배려하고, 문제의 원인에 대해 좀 더 객관적으로 접근해 보려는 마음들은 적은 것 같다. 오가는 사람 모두 전별시(餞別詩)는 없을망정 행여 마음의 생채기나 적었으면 좋겠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