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숨n쉼]예술을 감상하는 시간이 아까워?!

 

예술 관람은 일반인들에게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

우선 공연의 경우, 경제적 부담(티켓 비용)을 비롯해 시간의 할애, 정보검색을 통해 최대한 만족스러운 공연을 선택해야하는 까다로운 안목까지, 영화관을 찾아 가벼운 마음으로 시간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단한 결심 또한 필요하다.

그리고 그림자 비용(shadow price)도 만만치가 않다. 예를 들어 연주회에 가려면 티켓을 사야 한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그 밖의 비용이 배로 들어간다. 여기서 가장 설명하기 쉬운 것은 공연이 열리는 연주회장까지 이동하는 데 들어가는 교통비다. 집 근처에서 연주회가 열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히 들어가는 교통비에 연주회 전후의 비싼 식사비까지 지출해야하는 경우도 왕왕 생긴다.

결국 예술을 선택하고 관람하는 ‘시간’의 할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회비용의 포기와 함께 비용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늘 비용부담이 관람 장애요인에 첫 순위로 조사되고 있다.

일반 관객들의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 “문화비 지출이 만만치 않다”라는 생각들은 바로 예술 관객개발의 큰 장애요소로 작용, 예술 기획자들의 고충으로 이어진다.

이를 반영하듯 미국의 경제학자인 S.B 린다는 “시간이 비싸진 사회에서는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는 재화의 소비 쪽에 시간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한다. 예술은 소득에 반비례하는 큰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예술을 구입하기 쉬워진다”는 통상의 생각을 뒤집는 얘기도 된다.

그렇다면 예술 소비를 하는 관객개발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우리나라의 경우 초대권 문화가 타문화 선진국에 비해 비중이 높아 유효관객(有效觀客: 잠재관객으로 볼만한 공연정보를 통해 언제든지 유료관객이 될 수 있는 예술 관심계층)을 개발하는 것이 여간 힘들지가 않다. 이 같은 문제는 남다른 예술체험을 통해 아깝지 않은 시간을 보냈다는 만족의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예술 애호가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방향으로 매진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문화공간에서의 연주회가 지루해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면 예술의 문턱은 점점 높아지고 그 심리적인 거리감이 형성되어 관객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예술단체에서 개최되는 공연에 대해 관객들이 참여하고 싶다는 신뢰감을 높이는 일도 중요하다. 예술단체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 이 같은 시간에 다른 일을 하는 것보다 만족도를 높였을 때 관객들은 기꺼이 참여하고 주변 지인들에게 추천을 하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될 수 있도록 당연히 예술 기획자들의 노력도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기초 예술도 마찬가지이다. ‘시장가치는 낮지만 소중한 가치가 있는 문화예술’은, 흔히 소비의 비경합성(非競合性)을 이유로 오래 예술사에 있어 공공재라는 사회적 공감대로 인해 시장논리에서 벗어난 전통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예술 소비시장이라는 엄연한 논리가 적용되고 있고, 과거의 공공재로 인식되어 있는 분야들도 소비사회에 있어서 ‘혼합재’로서의 비교우위를 요구받게 되는 것 같다.

예술이라는 것은 노동집약적인 작업이고 신기술개발과 무관하게 노동력을 절약할 수 없는 분야이기 때문에 ‘비용질환’이라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우수한 예술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예술을 소비하는 통로가 만들어져 예술의 필요성과 그 공공성, 그리고 그 사회적인 기여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의료기관이 환자를 치료하듯, 예술도 관객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기능이 확대되어질 수 있으며, 꾸준한 일반인들의 예술의 소비는, 예술의 존재감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전통예능인 가부키(歌舞伎)을 공연하는 긴좌의 가부키좌는 연일 일본인들과 관광객인 외국인들로 붐빈다. 이러한 관객들의 관심과 지지를 받고 있다는 것은, 전통예능의 심리적인 거리감 좁히려는 주최자의 노력들이 있어서 가능했던 일이었다. 예술을 공공재에서 혼합재로 정착시킨 예이다.

예술을 감상하는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을 가진 이들에게 예술이 매력적인 유혹으로 다가갈 때 예술이 결코 시간이 아까운 것이 아니라, 그 예술의 가치가 전파되어 더욱 진화하는 장르로서 온전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