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과일인가 채소인가?’ 가끔 논쟁거리로 등장하는 수박은 요즘이 제철이다. 마크 트웨인은 이런 수박을 가리켜 “세상 모든 사치품의 으뜸이며, 한 번 맛을 보면 천사들이 무엇을 먹고 사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며 사랑의 시인 칠레의 파블로 네루다는 “물의 보석상자, 과일가게의 냉정한 여왕, 여름의 초록고래”라 예찬했다.

예부터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온 수박은 서양에서는 주로 디저트로 먹지만, 사막 국가들에서는 수분 공급원의 역할뿐 아니라 물을 담아 가지고 다니는 용기의 구실도 했다. 미국에선 치킨과 더불어 빈민층들의 양대 ‘소울푸드’라 부른다.

수박은 이미 기원전 2000년도 훨씬 더 전에 이집트인들이 재배하여 먹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고려 때로 추정된다. 허균의 도문대작에 “고려를 배신하고 몽골에 귀화하여 고려 사람을 괴롭힌 홍다구(洪茶丘)가 처음으로 개성에다 수박을 심었다”고 적고 있어서다. 조선시대엔 수박을 ‘서과(西瓜)’라고 불렀다. 서쪽에서 온 오이 혹은 참외라는 뜻이다. 그때도 귀하고 맛있긴 마찬가지였다. 목은 이색은 ‘수박을 먹다’라는 시에서 ‘마지막 여름이 곧 다해 가니/이제 서과를 먹을 때가 되었다/하얀 속살은 마치 얼음 같고/푸른 껍질은 빛나는 옥 같다’고 읊을 정도였다.

또 여름철에 성균관 유생들에게도 각별히 수박을 지급했다. 조선 후기의 문신 윤기의 시문집에는 이런 내용도 있다. “성균관 유생들에게 초복에는 개고기 한 접시, 중복에는 참외 두 개, 말복에는 수박 한 개를 준다.” 조선시대 수박 중 경기 양평 석산과 호남의 무등산, 평안도의 능라도에서 나는 것을 명품으로 쳤다.

요즘 시중에서 팔리는 수박들은 모양과 색이 매우 다양해졌다. 대부분의 품종은 무게가 5~11㎏ 나가지만 슈거 베이비나 밤비노처럼 꽤 작은 품종들도 있다. 과육도 빨간색, 핑크색 또는 노란색이다. 껍질은 줄무늬와 검초록 단색도 있다. 한여름 복(伏)달임 과채 중 으뜸인 수박을 자르면 유난히 ‘쩍’소리가 크게 난다. 그리고 이내 빨간 속살을 드러낸다. 최근 시중에 나돌고 있는 각종 의혹들도 이랬으면 좋겠다.

/정준성 주필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