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사설]AI에 이어 이번엔 구제역, 확산 막아라

지난해 11월 16일 발생이 확인된 고병원성 조류독감(AI)으로 인해 최근까지 살처분된 가금류는 2천600만 마리가 넘는다. 피해는 닭·오리 등 가금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순천만 습지의 야생조류, 서울대공원의 천연기념물 조류도 피해를 당했다. 최근엔 한강 성동지대 앞 도선장에서 폐사한 뿔논병아리도 AI로 확진됐다. AI 피해는 실로 엄청났다. 닭·오리농가는 초토화됐고 닭·오리고기는 외면당했다. 달걀 값도 대폭 상승해 외국에서 수입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그런데 이번에는 구제역이 발생했다. 지난 5일 충북 보은군 마로면 젖소농장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 정밀 검사 결과 ‘혈청형 O형’ 타입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해당 농장의 소 195마리가 모두 살처분 됐다. 아울러 6일 신고된 전북 정읍 한우 농가 구제역 의심 사례에서도 구제역 ‘양성’ 반응이 확인됐다. 이쯤 되면 우리나라 방역체계가 한심하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다. 구제역은 지난 2014년부터 매년 반복 발생했다. 지난번 구제역도 작년 3월 충남 홍성 돼지농장에서 끝난 듯했으나 11개월 만에 재발했다.

발생 때마다 정부는 백신 접종 등 방역을 강화한다고 발표했지만 이를 비웃듯이 올해 또 다시 발생했다. 방역에 실패한 것이다. 지난번 구제역 사태 때는 이른바 ‘물백신’ 논란이 벌어졌다. 국내 모든 소와 돼지를 대상으로 백신접종을 했는데, 항체 형성률이 50% 이하였던 것이다. 이에 정부는 2015년 7월 구제역 전국 확산방지를 위해 권역별 방역관리 제도를 도입하는 내용의 구제역 방역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했다. 방역관리 우수 농가 인센티브를 제공, 소독시설 미설치, 백신접종 위반 농가 과태료 대폭 증액도 포함됐다. 자체 방역 프로그램을 마련, 정기 예찰과 교육을 확대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이번에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은 해당 농장의 백신 항체 형성률이 20%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은 확실히 문제가 있다. 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거나 백신 접종을 했더라도 보관상의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어쨌거나 방역에 구멍이 뚫린 것은 분명하다. 정부는 AI 발생 후 한심한 대처능력을 보였다. 늑장대응에 구태의연하고 소극적인 방역방식으로 피해가 늘었다. 신속·적절한 초기 대응으로 피해 확산을 막았던 일본과 비교됐다. 구제역이 더 확산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