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지난 2005년 케냐는 독립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개헌안 투표의 용지에 바나나와 오렌지 그림을 그려 넣었다. 절반에 달하는 문맹 유권자를 위해 찬성하면 바나나에, 반대하면 오렌지에 기표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문맹률에 있어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인도에서는 정당을 상징하는 다양한 그림들이 투표용지에 등장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연꽃, 자전거, 손바닥, 자명종, 낫, 코코넛 등등.

1960년대 우리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당시만 해도 문맹률이 높다 보니 출마 후보의 기호를 1·2·3 같은 아라비아 숫자 대신 막대 개수로 숫자를 대신했기 때문이다. 당시 치러진 참의원 선거엔 후보가 28명이나 출마해 막대를 28개나 그려 넣었다니 상상이 안 될 정도다. 용지색깔마저 칼라플 하게 바뀐 지금과 비교하면격세지감이 따로 없다.

그렇다면 나라별 기표는 어떻게 할까. 우리의 경우는 2005년에 등장한 ‘복(卜)’자 ‘기표봉’으로 원하는 후보를 찍도록 하도록 하고 있다. 문맹률이 높은 나라들도 기표 도구만 다를 뿐 우리와 비슷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참의원 선거의 경우 유권자가 후보자 이름을 투표용지에 직접 써넣는 ‘자서(自書) 방식’을 택하고 있다. 표기를 잘못하면 무효가 되므로 후보자 이름을 안내문에 적어둔다. 또 프랑스에서는 후보자 성명이 따로 적힌 용지를 골라 투명 투표함에 넣기만 하면 된다. 후보마다용지가 달라 기표할 필요가 없다. 우리의 ‘도장 문화’와는 다른 방식이다.

이번 6·13 지방선거에선 유권자 1인당 7∼8번의 기표봉을 사용해야 한다. 교육감과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지역구 및 비례대표 광역의원, 지역구와 비례대표 기초의원 등 7장의 투표용지에 각각 기표를, 국회의원보궐선거가 있는 지역 유권자는 1장을 더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번거롭고 헷갈린다’고 말한다. 특히 교육감 선거는 정당과 무관, 기호가 없고 비례대표 선거는 정당에 투표하는 것이어서 더욱 그렇다. 하지만 민의의 대변자를 뽑는 선거인만큼 신성한 유권자의 권리 행사를 위해선 작은 불편함 따위는 감수해야 하지 않을까./정준성 주필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