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글숲에서]허영의 시장

 

“우리 각자에게 목걸이는 무엇일까요?”

최근 한 인문학 모임에서 기 드 모파상의 단편소설 ‘목걸이’를 읽고 난 후 리더가 던진 질문이다. 세계 최고의 단편소설작가로 꼽히는 모파상의 ‘목걸이’는 이렇게 시작한다.

“운명의 장난이라고나 할까. 그녀는 매우 아름답고 매력이 넘쳤지만 가난한 관리의 집에 태어난 평범한 처녀들 중의 하나였다.”

이 작품의 주인공 마틸드는 참으로 아름답고 매력적이지만 문교부에 근무하는 하급 관리와 결혼하게 된다. 어느날 남편의 직장 상관인 문교부장관이 주재하는 파티에 초대를 받은 마틸드는 마땅한 옷 한 벌, 장신구 하나 없는 초라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며 치욕스러움에 눈물을 흘리기까지 한다. 남편은 약간의 저축해놓은 돈으로 옷을 사도록 하고 친구에게 장신구를 빌리도록 제안한다. 새로 마련한 옷과 빌린 다이아몬드 목걸이로 한껏 멋을 낸 파티에서 그녀는 누구보다 아름다웠고 뭇 남성들의 주목을 받고는 승리와 행복에 취해 집으로 돌아오지만 곧 목걸이가 없어진 것을 알게 된다. 전 재산을 저당 잡히고 고리대금으로 빌린 삼만 육천 프랑을 지불해 똑 같은 목걸이를 사서 친구에게 돌려주고 난 후의 그녀의 삶은 끔찍한 가난이었다. 이따금 창가에 앉아 그녀는 지난날의 파티를 떠올리며 이렇게 중얼거린다.

“인생이란 참 이상하고 무상한 거야. 사소한 일이 파멸을 가져오기도 하고 구원을 베풀기도 하니!”

어느 날 거리에서 목걸이를 빌려준 친구를 만나지만 그 친구는 너무나 변해버린 마틸드를 알아보지 못한다. 마틸드는 지난 10년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자신이 이렇게 변해버린 것이 다 목걸이 때문이라고 말한다. 친구는 깜짝 놀라며, “내 목걸이는 가짜였어, 기껏해야 500프랑밖에 안하는…”

모임의 참여자들은 제각기 그럴듯하게 열변을 토했다. 원제가 ‘장신구’라는 점에 주목하여, 없어도 되는 것에조차 인간이 보여주는 과도한 욕망과 집착, 헛된 허영이 이 작품의 주제라고 정의했다. 그런가 하면 여성은 허영 덩어리의 하등 동물 수준으로 그리고 있는 반면 남성은 온건하고 책임감 있는 존재로 그리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작가의 남성중심주의적 태도를 비판하기도 했다.

모파상은 ‘사소한’ ‘우연’에 의해 인간의 운명이 결정되어버린다는 결정론에 관심을 가졌는데, 그것은 부분적으로 당시의 지적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1859년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이라 할 수 있는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의 발간은 인간이 더 이상 자유의지대로 삶을 주도해나가는 존엄한 존재가 아니라 하등동물로부터 진화된 미물에 불과할 뿐이라는 자기비하적 인식을 가져왔다. 한없이 왜소하고 무력해진 인간은 자연주의 소설의 주인공이 그러하듯 우주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조종되는 꼭두각시에 불과한 존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허영과 욕망을 향해 치닫는 마틸다의 운명은 이미 예고된 것이다.

더 큰 욕망을 향해 더 높은 곳으로 기어오르려는 인간 군상이 난무하는 사회를 W.M. 새커리는 ‘허영의 시장’이라 했다. 선거철만 되면 더 높은 곳으로 오르기 위한 온갖 공약들이 유권자들을 자극하며 현혹한다. 기대와 결과의 간극이 클수록 극적인 아이러니의 효과가 더 크고 이제 걸작이 완성되는 것이다. 욕망이 극대화된 이 시대에 각자의 목걸이가 과도한 욕망의 화신이 되지 않기를, 현실이 예술보다 더 극적인 것이 되지 않기를 아이러니컬하게 기대해본다.

모파상도 자신이 쓴 비명에서 이렇게 말하지 않았는가?

“나는 모든 것을 탐했지만 어떤 것에서도 기쁨을 느끼지 못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