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삶의 여백]효제(孝弟)에 관하여

 

 

 

오늘날에 있어 ‘효제孝弟’란 생소하다 못해 서먹한 말이겠으나 뜻으로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말인 즉, 곧 유학이 근본이던 조선조에 있어 안으로는 부모님께 효도하고 형제들과는 우애롭고, 나가서는 어른에게 공손할 것을 가르쳤던 인간의 도리에 관한 도덕률로써, 군자라면 마땅히 갖추어야 할 ‘인仁’과 ‘예禮’의 시발이기도 한 말이다.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지키며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있어 최소 단위 생활 질서인 ‘효제’와 그로 비롯된 ‘인’과 ‘예’의 갖춤이 있을 때 비로소 나라를 다스릴 군자라 일컬었으니(논어 학이편), 왕조가 무너지고 유학 사상이 무너졌어도 기초 단위 생활로서의 ‘효제’란 말은 오늘에도 긍정적이어서 생활에 필요한, 살아 숨쉬는 말일 것이다.

먹는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다. 그리고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는 동물이든 식물이든 섭생을 취해야 살 수 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어야 사람일진데 그저 그냥 먹기에만 급급하다면 짐승과 다를 바가 무엇이겠는가. 예수께서도 가르침보다 굶주림부터 먼저 면하게 하셨고(5천명의 기적), 극도의 고통에 빠진 자를 불쌍히 보사 믿음으로 고통에서 벗어날 기적을 주고자 하셨듯, 인간답게 살자면 최소한 먹거리라는 1차적 환경이나 감내할 수 없는 고통에서 벗어나 인간답게 자유로이 생각할 수 있어야 비로소 스스로 긍정적 바른 삶으로 고개를 돌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고개를 돌리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는 거듭되는 악순환에 바늘 도둑으로부터 소도둑으로 몰고 가는 부정적 사회가 될 것이다.

‘효제孝弟’는 주변과 조화롭게 살아가도록 지혜를 제공하고 그것이 늘 몸에 붙도록 노력할 것을 주문한다. 인간으로써의 삶은 혼자 살아감을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어쩌다 스스로의 처지가 우월해지면 우쭐해지기 십상이다. 그러나 하늘은 열악한 처지의 이웃을 돌볼 것을 도덕 율로써 종교적 율로써 가르친다. 그러고도 세상이 모른 체 한다면 정치로써 법률로써 혹은 다른 무엇으로 끝내는 고치려 할 것이다. 고려 중기, 무신들이 문신들의 무시로 무신란이 일으켰을 때 수많은 문신들을 무신들이 죽이면서도 문신 최유청과 그 일족들은 무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무신들이 집권하기 전 평소 늘 최유청이 무신들을 무시않고 예로써 대하며 존중했기에 일족들까지 무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람이던 짐승이던 모멸이나 무시를 당하면 화가 나기 마련이다. 심지어 식물도 그렇다고 한다. 살아 있는 생명체는 생명체로써 마땅히 존중받아야 한다. 하찮은 짐승이라도 무시를 당하거나 제 먹거리를 뺏기게 되면 이빨을 드러내면서 주인에게도 공격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는데 얼마나 무시를 당했으면 말 못하는 짐승이 주인을 공격했을까 싶다.

뉴스에 갑질로 고통받는 이 즉, 을의 고발에 갑질한 이들의 이름이 심심찮게 등장하는데, 그런 가운데 항공사 경영주들이 최근 수난을 겪었던 소식을 우라는 알고 있다. 돈으로 세상을 재단하던 사람이라 생명의 거룩함도 돈으로 재단했던가 보다. 생명이 하늘에서 내린 거룩한 삶이란 걸 알지 못했음이리라. 그들이 사람의 도리를 알았더라면 과연 그랬을까. 역지사지 그들도 을이 되어 보았다면 그랬을까.

수신제가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란 기초적 질서를 지킬 수 있어야 큰 질서도 지킬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니 제 부모를 욕하는 사람을 지도자로 모시고 있는 우리는 어떻게 대해야 할까. 천설야중거(穿雪野中去)란 한시에서 보듯 눈길을 앞서 가는 사람의 발걸음은 따라올 사람의 이정표가 되어 뒤에 오는 사람에게 좋은 모범이 된다면, 앞선 이는 앞선 이대로 따르는 사람은 따르는 이대로 모두가 긍정적 사회를 만들어 갈 초석이 되지 않겠는가. 좋은 가풍 좋은 학풍 좋은 사회가 그저 생겼겠는가.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