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수원서 시작된 “독립만세”… ‘모두를 위한 나라’ 시민 함께 기리다

 

 

 

삼일운동 역사와 기념행사

우리나라의 헌법은 나라의 기초를 3·1운동의 결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통이 시작됐다고 명시하고 있다. 1919년 기미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서울 종로 태화관에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 이에 맞춰 일제에 강압통치를 받아야 했던 민중들은 조선의 자주독립을 염원하며 손에 태극기를 들고 곳곳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삼일독립운동은 서울에서 시작돼 수원을 비롯해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특히 수원과 평안북도 의주, 황해도 수안은 오랜 기간 격렬하게 독립운동이 전개되며 3·1운동 3대 항쟁지로 역사에 기록을 남겼다.

3·1운동의 기록하고 기억하기 위한 경기도와 수원시 등의 2019년도 기념사업을 살펴봤다.

<편집자 주>

100년 전 3월1일 방화수류정 부근에서 시작
종교계·학생·소작농·기생까지 전 계층 참여
향남면 제암리에서는 일제의 끔찍한 학살도

교동권역 등 4곳에 독립운동 탐방로 조성
강사 30명 양성… 100개 초·중에서 교육 등
‘항일운동 성지’ 수원, 28개 기념사업 추진

화성, 제암리 등 지역 독립운동사 재조명
안성, 독립운동 유물 기증 캠페인 등 실시
도, 시군 연계 항일유적지 답사체험 운영


3대 3·1운동 항쟁지, 수원

수원은 삼일운동 최대의 격전지로 기록된다. 일제시대 수원은 지금의 화성시와 오산시를 포함한 도시였다.

근현대 역사학자 등에 따르면 수원에서 가장 먼저 만세운동이 시작된 것은 3월 1일이었다. 3·1운동 중앙지도체 49인 가운데 한명이던 김세환 선생은 1919년 2월 22일 서울에서 독립선언의 방법을 논의하고 2월24일 수원으로 내려와 동지들을 규합하는데 온 힘을 쏟았다.

그리고 3월 1일 방화수류정 부근에서 수백 명이 함께 만세운동을 벌이며 수원의 독립운동이 시작됐다. 종교계부터 교사·학생·소작농·상인·노동자·기생들까지 전 계층이 참여한 만세 운동이었다.

3월 16일에는 장날을 맞아 팔달산 서장대와 창룡문 연무대에 모인 수백명의 시민들이 만세운동을 전개했고, 장날 모인 도내 상인들은 만세운동을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날을 기점으로 만세운동은 현재의 화성 송산면·우정면과 안성, 광주, 평택 등으로 확산됐다.

4월 3일 장안면과 우정면 농민들이 연합해 대대적인 독립운동을 펼쳤다. 태극기가 아닌 횃불을 들고 2천여 민중이 모여 조암장터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외쳤고, 무력 진압하려는 일제에 맞서 장안면사무소 파괴와 화수리에 있던 경찰관 주재소 습격 등 격렬한 운동으로 발전했다.

끔찍한 학살도 자행됐다. 향남면 제암리에서는 일본군경이 독립만세운동으로 죽은 일본인 경찰부장의 원한을 갚겠다며 30여 명의 양민을 제암리교회에 몰아넣고 학살한데 이어 민가를 습격해 수십명을 사살하는 사건을 일으켰다. 이런 만행은 오히려 만세운동을 확산시켰을 뿐 아니라 외국 선교사들과 양심있는 일부 일본인까지도 분노하게 하였다.

이밖에 3월 26∼28일에 송산면 일대, 29일 성호면 오산(烏山)에서 각각 격렬한 만세시위가 전개됐고, 3월 29일에는 수원기생조합의 김향화가 자혜병원으로 가던 중 여러 기생을 주도,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치기도 하였다. 이런 저항운동은 일제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며 4월 중순까지 이어졌으며, 이후 근대교육기관 설립의 모태가 됐다.

3·1운동 기억하고 기록하다

경기도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도내 항일유적 알리기에 나섰다. 문헌과 현장조사를 통해 257개 유적지 확인에 이어 2018년 1차로 58개 항일유적지에 1억 2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안내판과 동판 등 안내표지 설치했다. 이어 올해는 200여 곳 유적지에 안내판을 추가로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안내판에는 유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 담기며, 표지 동판에는 ‘경기도 항일유적지’라는 표시를 담아 유적지 바닥, 건물 벽면 등에 설치하게 되며, 보훈처, 시·군 등과 연계해 도내 항일 유적지에 대한 답사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활용방안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가장 적극적인 곳은 3대 항일운동의 성지로 꼽히는 수원시로, 지난해 1월 학계·종교계·언론계 인사와 사회·시민단체 대표, 시의원, 공무원 등 17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수원시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발족했다.

‘수원 3·1 항일독립운동 상징물(가칭) 건립’, ‘독립운동 탐방로 조성’, ‘수원지역 독립운동 강사양성·학습 지원’, ‘100주년 기념 청소년 역사토론대회’, ‘수원의 독립운동가 다룬 창작 뮤지컬 제작’, ‘시민이 기획하고 참여하는 시민참여행사(수원 그날의 함성·모두를 위한 나라)’ 등 28개 기념사업을 추진한다.

올림픽공원에 건립예정인 3·1 항일독립운동 상징물은 3·1운동 유적지의 돌을 이용한 조형물로 3·1운동을 기억할 수 있고, 친근감 있는 상징물이라는 컨셉에 맞춰 순수하게 개인·단체·기업 등 시민 성금으로 조성되며 참여자는 ‘100주년 기념사업 백서’에 이름이 등재된다.

독립운동 탐방로는 ‘교동권역(근대 신작로를 걷다)’, ‘서둔동권역(농업 역사의 길)’, ‘수원화성권역(항일운동의 길)’, ‘수원천변권역(장터 문화의 길)’ 등 4곳에 태극기 거리를 설치하고 일제시대 처음 제작된 태극기와 현재의 태극기가 상설 게양된다.

독립운동 강사 양성은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이뤄지며, 양성된 강사들은 수원시 100개 초·중등학교에서 학생 2만여 명을 대상으로 수원지역 독립운동 등을 주제로 교육하게 된다.

창작뮤지컬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힘썼던 독립투사들과 수원지역 독립운동가의 삶을 다루며, 수원시, 화성·오산시 등에서 상연할 계획이다.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100주년을 기념하고, 수원시 승격 70주년, 6·10민주항쟁 32주년을 기념하는 민주평화공원도 조성된다.

핵심모토는 ‘시민참여’로, 3·1독립운동이 시민들의 자발적인 주권회복 운동이었던 만큼,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성이 가장 큰 원동력이 되야 한다는 설명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의 가치와 정체성이 살아있는 기념사업이 중요하다”며 “시민들의 참여로,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념사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화성시는 지난 해 8월 25일 삼일운동 기념사업 추진위원으로 200여 명의 시민들을 위촉해 기억위원회, 미래위원회, 화합위원회, 시민평화위원회와 전문가 자문단 등으로 기념사업 추진위원단을 꾸리고 4·15제암리 사건, 고주리 학살사건 등 화성의 독립운동가를 기리기 위한 독립운동사 조명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독립문과 역사공원 조성 및 기념관 건립 △ 3·1운동 만세길 복원 조성 △독립운동 기념지역 정비 △4·15 국제평화 심포지엄 개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8월 8일 평택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창립한 평택시는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지나간 여정을 회고·기념하고 후손들의 미래를 위한 사업을 구상중에 있다.

안성시도 안성삼일운동기념관을 중심으로 독립운동 관련 유물 기증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에게 삼일운동 100주년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업을 전개하는 등 도내 각 지자체에서 삼일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꿔야…

국가 정통성·역사성 연결될 수 있어

김 재 옥 민족대표 33인 선양위 이사장


수원 영통구의 민족대표 33인 선양위원회 사무실에 들어서자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태화관에서 민족대표가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그림이다. 그 옆으로 손병희 선생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받은 건국훈장이 액자에 보관돼 있었다.

김재옥 민족대표33인선양위원회 이사장은 “(민족대표 33인은) 조선이 다시 태어나게 만든 분들로, 그분들이 있어 임시정부가 탄생했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다”며 “신익희 선생의 아들 신하균 선생은 죽어가는 사람에게 손가락을 베어 피를 흘려 살려내듯, 조선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고 싶다는 말로 독립운동에 참여한 마음을 전했다. 그런 마음을 가진 종교계, 문화계 대표들이 모여 독립선언을 낭독하고 전 세계에 알리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꿔야 한다”며 “조선이라는 나라가 대한민국으로 바뀐 혁명으로, 이를 통해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현재의 역사로 대한민국이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에 ‘혁명’이란 단어를 사용해야 국가의 정통성과 역사성이 연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재옥 이사장은 “사람이 죽을 때 돈을 가지고 갈수 있나”라며 “지금의 욕심이나 욕망 때문에 나와 주변, 국가에게 피해를 주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 독립운동가들과 민족대표 어르신들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바로 거기에 있다”라고 전했다.

/안직수기자 jsahn@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