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현장에서]학종과 수능, 제대로 봐야

 

 

 

학생부 종합전형(이하 학종)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을 두고 갈등이 깊다. 지방 군소 도시 고교는 학종이 유리하다고 한다. 서울 강남 지역 고교와 자사고, 특목고 등이 수능을 독점하기 때문에 학종을 선호한다.

반면 학종은 ‘금수저 전형’이라고 주장하는 집단도 있다. 부모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에 의해 좌우되는 입시라고 규정한다. 그나마 수능이 개천에서 용이 나올 수 있다고 한다.

사회 현상에 대한 개인 간에 생각이 다른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대입 제도에 대한 생각도 다를 수 있다. 다른 생각은 머리를 맞대고 해결하면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된다. 하지만 위의 사례는 동일한 대상을 두고 자기에게 유리한지 불리한지를 따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 당국은 수시와 정시의 입시 정책 자료를 얻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이다. 전형 방법에 대한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조사된 통계 수치는 현상을 왜곡한다.

수능 시험이 공정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공정이라는 잣대만 염두에 둔다. 이런 식이면 과거에 대학별고사 등 모든 입시 제도도 공정했다. 그런데도 대입 제도가 자주 바뀐 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교육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교육의 본질을 생각지 않고 공정성 신뢰성만 생각하는 사람들은 수능 점수로 학생을 선발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한다. 이런 방법은 수험생도 대학 당국도 편리하다. 입시 지도를 하는 선생님들도 가장 편안 길이다.

이런 편리 때문에 수능 점수 위주로 가자는 주장은 무책임한 측면이 많다. 학교는 수능 준비에 몰두해야 하고 학생들은 귀중한 삶의 단계에서 문제 풀이에 허비해야 한다. 사교육은 더욱 기승을 부리고 특별한 재능이 있는 아이들도 잠재력을 피우지 못하고 교실에서 낙오자들로 전락한다.

공정성과 함께 교육에 기여하는 정의가 필요하다. 학종은 교과 전형과 종합 전형(이는 교과와 비교과 포함)으로 나눈다. 교과 전형은 교과(내신) 성적이 주다. 1학년 때부터 학과 성적을 잘 유지해야 하는 측면에서 학생의 성장을 평가하는 과정평가 방식이다. 종합 전형은 비교과까지 영역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더욱 교육적이다. 학과 성적과 함께 학교생활을 평가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좋은 전형 방법이다. 수능 중심의 정형화된 수치는 학생의 다양한 능력을 파악하기 어렵다. 프로젝트 학습, 토론 수업, 협력 학습 등 수업 과정에서 보인 역량과 수행평가 등에서 보인 차별화된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종 위주의 전형은 정량적 평가와 학업 동기, 의지, 열정 등 정성적 평가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학생들의 배움은 물론 성장과 발전을 평가하는 것으로 미래 교육이 나아갈 방향이다.

공정성과 함께 중요한 것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다. 학종의 취지는 인정하고 수능의 폐해는 줄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학종에 면접 전형과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두는 것은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 된다. 학종을 비난하는 사람들은 올해 여고에서 있었던 성적 조작 사건을 이유로 든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근본적으로 학종과 별개다. 성적 조작은 학생을 한 줄로 세우는 결과 위주의 상대평가 방식 때문이다. 성적 조작 사건 때문에 정시로 가야 한다는 논리도 무리가 있다. 이는 학교 교육 전부를 부정하는 꼴이다. 성적 조작이 있어서는 안 되겠지만 앞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시스템을 고쳐 성적 조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능은 생명을 다한 평가 방식이다. 수능의 창시자 박도순 교수도 수능이 암기력 테스트로 전락했다고 했다. 현재 수시로 70%를 선발하고 있는 학종을 불공정하다고 할 수 없다. 이제 우리 교육은 가르친 결과보다 배움의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 이것이 학종에 담겨 있다. 학종은 학생의 성장을 돕는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는 제도다. 이것을 평가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