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민중과 연대한 조선후기 최대 규모 권력투쟁 이인좌의 봉기 다시 짚어보기

영조의 선왕 독살설 소문 퍼져
조선 정당정치 폐해 그대로 표출
망국의 상황서 나라 구하려 거병
실패로 끝났던 이인좌의 봉기
풍부한 상상력 더해 집중 조명

 

 

 

1728년(영조 4년, 무신년), 나라 안에는 영조가 왕의 혈통이 아니라는 풍문과 선왕인 경종을 독살했다는 의혹이 파다하게 퍼져 있었다.

영조가 노론의 적극적인 지지로 왕세제가 된 뒤 왕위에까지 오르자, 경종의 급작스러운 죽음에 의구심을 갖고 있던 일부 소론파는 전국을 다니며 뜻있는 선비들을 규합하기 시작한다.

정권을 노론에서 소론 온건파로 바꾸는 정미환국(1727년, 정미년)으로 소론이 분열돼 있는 상황이었지만, 무신혁명군은 영조의 영악한 정치력으로 인한 폐해와 백성들의 가혹한 삶에 더는 참지 못하고 종묘사직을 바로 세우고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거사를 준비한다.

이인좌가 대원수로서 선봉에 선 무신혁명군은 제대로 된 혈통을 가진 밀풍군 이탄(소현세자의 증손)을 왕위에 올리고, 동시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도 백성을 여전히 양반과 상놈으로 갈라놓은 채 수탈에만 혈안이 된 기득권 세력을 처단함으로써 망국으로 치닫는 나라를 구해내는 것을 기치로 내걸고 거병한다.

이인좌가 이끄는 호서군이 청주성을 단숨에 함락시키면서 시작된 무신봉기는 정희량이 중심이 된 영남 지역, 박필현이 앞장선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들불처럼 번진다.

영남의 정희량은 안음현과 거창현 두 지역을 단숨에 장악하고 한때 합천·함양 등 4개 군현까지 석권할 정도였다.

“우리의 봉기는 우선, 선왕을 독살하고 왕좌를 차지한 말도 안 되는 패륜을 저지른 임금을 갈아치우기 위함이요.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세상천지를 제대로 만드는 것이요.”

무신혁명군의 봉기는 단순한 반란이 아니었다.

이 봉기는 노론·소론·남인의 당쟁이 극심했던 조선 정당정치의 폐해가 표출된 사건이며, 농업생산력 증가와 상공업 발전으로 인해 유민으로 전락한 농민, 두 차례의 큰 전란과 정부의 계속된 실정으로 삶이 피폐해져 가던 피지배층의 저항이 행동으로 이어진 사건이었다.

이 봉기 이후 영조는 다시 탕평책을 실시해 당쟁의 폐해를 막으려 했지만 이미 소론의 힘이 약해진 상황이었기 때문에 노론의 집권이 한층 굳건해지는 동시에 영조의 왕권이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봉기가 평정된 후에는 경상도의 감영 소재지인 대구부의 남문 밖에 ‘영남반란평정기념비(평영남비)’가 세워져 진압에 끝까지 저항한 영남은 반역향으로 못 밖히게 된다.

아울러 부농층·중소상인과 하층민이 중세 봉건 신분 사회를 해체하는 변혁 운동의 주도세력으로 부상했다는 점에서 우리 역사에서 그저 ‘반란’으로 치부하고 소홀히 다루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건이다.

무신봉기는 조선 후기 정치·사회 체제 및 권력 구조의 내부 모순을 타파하려는 움직임이 민중과 연대해 실행된 가장 큰 규모의 권력투쟁이면서 의리와 명분이 분출된 사건이었던 것이다.

역사는 이 사건을 ‘이인좌의 난’ 또는 ‘무신란’이라 기록하고 있다.

이름만 대면 알 만한 명신 대작 후손들이 대거 참여했을 뿐 아니라 부패한 세상에 등을 돌렸던 화적패, 수탈과 불평등에 괴로워하는 민중들 등 전국적으로 20만여 명이 가담한 이 거사를 ‘난’이라고 부르는 일은 과연 합당한가.

이인좌를 한낱 ‘역적’이라고만 일컫는 일은 타당한가. 승자(勝者)들의 횡포와 무지막지한 파괴 행위에 묻혀간 역사 속 패자(敗者)들의 진실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온 작가는, 승자만이 독점해온 역사의 이면을 파고들어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이인좌의 난’을 재조명한다.

/정민수기자 jms@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