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현장에서]다문화 사회 진입 길목에서

 

 

 

 

 

작년 11월 13일 한 중학생이 인천 연수구에 있는 청학아파트 옥상에서 추락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알고 보니 동급생 4명으로부터 전날에 이어 한 시간여 동안 집단 폭행을 당하던 중 일어난 사건이었다. 죽은 A군은 공교롭게도 다문화가정 아이였으며, 평소 A군은 다문화가정 출신이라는 이유로 자주 놀림을 받아왔고 집단 따돌림을 받았다고 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다문화 아이들의 경우 학교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이들은 언어능력의 부족으로 학습 부진의 정도가 심각한 상태에 있다. 우리나라 국제결혼의 경우 대부분 여성 이민자들인바, 우리말이 서툰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는 자녀들은 언어 습득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는 곧 학습 부진으로 이어진다.

둘째, 이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성장하면서 경험하는 자신의 문화와 어머니의 문화가 다른데서 오는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이들은 집단 따돌림 등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고 있다. 어느 통계에 의하면 국제결혼 가정 자녀는 10명 중 2~3명 정도가 집단 따돌림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우리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학교에서 ‘우리는 한 핏줄이고 우리나라는 단일 민족 국가’라고 배워 왔다. 하지만 21세기 지구촌사회에서 급격한 민족 이동시대에 접어든 이제 단일민족이라는 말은 과거의 유물이 되어가고 있다.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작년 10월 30일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에 해당한다. 지금 추세를 유지할 경우 3년 뒤인 2022년에는 3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법무부는 예상하고 있으며, 2040년에는 전체 가정의 20%가 다문화 가정이 될 것이라 한다.

향후 20여년 후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0~20%가 혼혈 한국인이 될 거라는 이야기이다. 급기야는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UN CERD)에서 “한국 사회가 다민족 사회가 된 만큼 단일 민족 국가라는 개념을 극복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처럼 다문화국가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수의 다민족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사전 대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민족마다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우열이 아닌 차이의 문제일 뿐이다. 이 땅에 사는 모든 민족과 함께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며 필자의 생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이 일정 비율 정착하고 있는 지자체에서는 한글 및 문화학교를 개설 운영해야 한다. 지자체의 직접 운영이 어려우면 시민단체를 지원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인종차별금지’와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을 불식시키기 위한 범사회적 캠페인이 필요하다. 이민족 이문화를 수용하고 더불어 공존 공영할 수 있는 공동체 이해교육에 범국민적 관심이 제고되어야겠다.

셋째, 다문화 학생에 대한 학교당국의 세심한 교육적 배려가 요구된다. 인천 피해학생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피해 학생이 ‘다문화’라고 놀림을 받게 된 연유가 담임선생의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종례 시 “다문화학생은 남아라” 라는 지시가 있고 난 이후부터 별명이 ‘다문화’가 되었다고 한다.

우리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우리는 이민족, 이문화를 접하면서 살아가야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이미 200만 명의 외국인이 들어와 삶의 터전을 닦아가고 있다. 2040년경에는 많게는 1천만 명의 외국인이 이 땅에서 함께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들과 더불어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다민족 다문화 교육에 보다 깊은 관심을 기우려야 할 때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