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사설]일본어 잔재 청산, 교육·홍보 강화하라

올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한 지 100주년이 된 해이지만 한편으론 3·1독립만세운동이 벌어진 지 100년을 맞는 해다. 일제의 강압 통치로부터 벗어난 지도 74년이 흘렀다. 이렇게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아직도 이 나라엔 매국노 친일파 후손들이 득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생활과 문화 곳곳에 일제 강점기의 잔재가 깊고 광범위하게 남아 있다. 이에 경기도는 올해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언어 속 일제잔재 청산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아직도 공문서 등에 일제잔재 표현과 관행들이 많이 남아있다며 “민간기관과 국어학자 등 전문가와 추진단을 구성해 일본식 표현을 전수조사하고, 순화어 100개를 발표해 보급하는 등 언어 속 일제잔재 청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추진단을 구성, 5월부터 잔재 청산 작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료 조직 곳곳에 지금도 잔재는 버젓이 남아 있다. ‘징구(徵求)’, ‘~에 의거’ ‘만전을 기해’ ‘행락철 도래’ ‘공람’ 등 행정용어와, ‘주사’, ‘서기’ 등 직급명칭은 일제 강점기 시절과 달라지지 않았다. 교육계도 마찬가지다. 여전히 ‘훈시·훈화’란 말이 사용되고 있다.

국민의 대변자라는 국회의원도 함부로 일본말을 우리말처럼 사용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이은재의원의 ‘야지’ ‘겐세이’ ‘분빠이’ 발언이 그것이다. 공사판에서도 ‘노가다’, ‘기스’, ‘공구리’, ‘나라시’, ‘와꾸’ 등의 일본어가 거리낌 없이 사용된다. 언론·출판계에서도 ‘사쓰마와리(사쓰마리)’ ‘하리꼬미’ ‘우라까이’ ‘야마’ ‘도비라’ 등 일본말이 그대로 사용된다. 일상생활 속에서도 일본어 잔재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지난 2015년 5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연합동아리 ‘생존경쟁’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서울·경기 지역 남녀 대학생 각 350명을 대상으로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일본어 잔재 설문 조사’ 결과 대학생들은 ‘구라’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러나 ‘구라’는 국립국어원이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순 우리말단어로서 국가 공인 표준어다. 이 설문조사에 응한 이들은 ‘일본어 잔재가 사라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국민들의 무관심 때문’(27%), ‘일본어 잔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부족’(26.6), ‘정부의 무관심’(26.1%)이라고 답했다. 그렇다면 국민들이 더 관심을 가져야하며 정부는 일본어 잔재에 대한 교육·홍보에 힘을 쏟아야 한다. 언어를 말살하려한 일제의 언어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상태에서 진정한 독립을 운운할 수는 없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