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김훈동칼럼]지방분권시대, 지역신문이 중요하다

 

 

 

‘신문 보며 배우네. 나무도 숲도 읽어 내는 안목(眼目)’ 제63회 신문의 날을 알리는 슬로건이다. 아무리 인터넷 세상이라지만 활자 신문만큼 세상을 고주알 미주알로 캐내어 알릴 수는 없다. 급류를 타는 변화가 빠른 세상이라도 방향키를 잡아주는 것은 신문뿐이 아닐까. 매일 착 펴면 척 보이는 세상, 신문에서 알아차릴 수 있다.

지방분권시대다. 우리가 사는 곳이 중심이다. 중앙정부가 움켜쥐고 있던 행정권력이 지방으로 분산돼 실질적인 지방자치시대를 열어간다.

아직도 미흡하지만 지역신문이 목소리를 높여 그 역할을 해야 한다. 1300만 인구를 가진 대한민국 최대 광역도시 경기도는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을 위해 한 단계 발돋움하려고 한다. 그 당위성을 널리 알리고 도민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야 한다. 광역자치단체에 걸맞은 지역신문이 뿌리를 내려야 하는 이유다.

지역신문은 우리 지역사회의 거울이다. 신문은 공기(空氣)이자 공기(公器)다. ‘독(毒)을 퍼붓는다. 소리 없는 입으로 낯은 두꺼울수록 유리하다.(중략) 험난한 언어들이 판을 치는 꿈에서도 구경 못한 세상(후략)’ 어느 시인의 신문이란 제목의 시구(詩句)다.

SNS시대에도 전통적인 신문의 역할에 대한 도민의 기대는 줄지 않았다. 지역신문은 단순히 경영자 몇 사람의 자산이 아니다. 1300만 도민과 경기도의 힘과 축적된 에너지를 알 수 있는 바로미터다. 우리가 늘 접하는 지역뉴스를 이용하는 공간은 인터넷이다. 하지만 도민들은 신문이 제공하는 뉴스를 인터넷을 통해 알고 있다. 그만큼 신문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역할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전국 광역자치단체마다 지역신문이 발행되고 있다. 많게는 10~20여개의 신문이 앞 다투며 뉴스를 알린다. 물론 종이신문과 인터넷신문 등 다양하다. 직필정론(直筆正論)은 신문마다 내건 사시(社是)다. 진실과 정의의 편에서 뉴스를 전달하지만 허위정보와 가짜뉴스가 지역사회를 오염시키고 있다. 신문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다.

신문이 극복해야 할 대내외적 도전이다. 지역신문이 힘없는 도민, 소외된 도민을 대변할 때 우리 사회가 더 나은 공동체로 발전한다. 공정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도정과 도의회를 비판하는 일은 지방정부나 의회가 긴장을 늦추지 않게 하는 힘이다. 공직자를 비롯한 사회기관, 단체도 마찬가지다. 각기의 역할과 맡은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는 지도 집어주는 것이 지역신문의 역할이다.

프랑스의 정치학자 알렉시스 토크빌은 “지역신문의 힘은 국민의 힘에 버금가는 존재”라고 역설했다. 하지만 현행 신문법이 편집 자율성과 독자 권익은 물론 신문이 공정성과 공익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거대 공룡 포털의 지역신문 홀대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뉴스시장에서 모바일과 PC를 통한 뉴스 유통 비중이 매우 높다. 포털사이트를 통해서 뉴스를 접했다는 사람이 무려 76%를 상회한다. 이는 한국언론재단의 2018 언론수요자 조사 자료다. 포털에서 지역 뉴스를 접할 수 없는 게 문제다. 지역뉴스는 여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도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오죽하면 전국 주요 지역일간지 발행인으로 구성된 전국지방신문협회가 “지역신문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있다. 네이버의 모바일 뉴스 페이지 개편과 뉴스검색 알고리즘 개편으로 지역뉴스 기사는 노출이 힘들어졌다. 우리나라 뉴스 유통을 장악하고 있는 거대 뉴스유통사업자인 네이버의 지역언론 배제는 디지털 공론장에서 지역신문 추방과 다름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지역신문들은 독자수와 광고수익 감소로 경영난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미국도 많은 지역신문이 폐간위기에 부닥치고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지역신문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소위 ‘뉴스사막’이 확산되고 있을 정도다. 포털은 지역신문이 성장하고 번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마땅하다. 플랫폼 기업이자 뉴스 유통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으로서 당연한 책임이 아닐까.

지역신문과 포털이 상생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공익적 책무이기 때문이다. 지방분권시대에 자치단체의 권한과 역할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도민 편에서 이를 감시하고 견제할 수단은 지역신문뿐이다. 지역신문의 지속적인 생존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