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조사 결과
준비된 기업 46.5%도 “재고분 확보”로 소극적 대응뿐
정부 추진과제 1순위는 ‘외교적 해결·국제공조 강화’
일본과 거래하는 중소기업 절반 이상은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대한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준비된 기업 46.5%도 “재고분 확보”로 소극적 대응뿐
정부 추진과제 1순위는 ‘외교적 해결·국제공조 강화’
중소기업중앙회가 13일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백색국가 제외 영향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백색국가 배제 발효 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전체의 67.3%였다.
영향을 받는 시기는 ‘3개월 이내’라는 응답이 36.3%를 차지했고 이어 ‘4개월~1년 이내’ 26.7%, ‘1년 이후’ 4.3% 등의 순이었다.
백색국가 배제에 대응해 별도의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52.0%에 달했다. 대비하고 있다고 말한 기업들도 소극적 대응 방안인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많았다. ‘일본과의 거래축소나 대체 시장 발굴’(31.3%),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15.3%), ‘국산화 진행 등 기타’(6.9%)가 뒤를 이었다.
일본과의 무역전쟁에 대응해 정부가 먼저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국제공조 강화’를 꼽은 기업이 4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업피해 최소화와 공정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21.0%) 등의 답변이 있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중 소재·부품·장비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하고, 발굴된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매칭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됐다”면서 “이를 발굴하는 데 적극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철기자 jc38@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