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유산여행]옥산서원과 회재 이언적 선생2

 

 

 

옥산서원은 강학중심서원으로 전면에 강당이 후면에 사당이 자리해 있다. 옥산서원의 강당인 구인당을 중심으로 마당 좌우에는 기숙사인 암수재와 민구재가 자리하고 있다.

구인당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건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가운데 대청마루 3칸과 좌우 1칸은 온돌방이다. 하지만 마당으로 면한 온돌방에는 창을 내지 않고 벽으로만 만들어져 있다. 좌우 온돌방이 양진재와 해립재이다. 양진재와 해립재는 ‘함께 인을 세우는’ 학업에 정진해야한다는 의미다.

강당 마당 동쪽에 자리하고 있는 동재는 민구재이며, 서쪽에 자리한 서재는 암수재이다. 민구와 암수의 의미는 공부를 함에 있어 ‘드러나지는 않지만 날마다 부지런히 힘써야 한다’는 의미이다. 무엇이든 드러나기 전에 수면 아래 끊임없이 움직이는 노력이 있어야 하고 그 움직임이 끝없이 이어져 어느 순간 깨달음이라고 하는 성찰로 이어져 학업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비단 조선시대의 학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살아가는 삶에 있어 모든 것이 다 이 원리와 상통된다.

구인당을 중심으로 동재와 서재, 그리고 남쪽의 무변루까지 옥산서원의 강학공간은 ‘ㅁ’자 형태로 옥산서원의 전체 컨셉인 폐쇄된 형태를 유지한다. 폐쇄된 공간은 구인당 대청마루에 올랐을 때 비로소 조금 숨통이 트인다. 자리한 건물들이 높이가 낮아 멀리로 자연경관들이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구인당 뒤편으로는 사당인 체인묘가 자리하고 있다. 체인묘는 제향공간의 중심영역으로 이 곳에 회재 이언적의 위패를 모셨다. 평생 공자의 인(仁)을 연구하고 그 내용을 ‘구인록’이라는 책에 남긴 이언적 선생의 사당 이름에서도 ‘인(仁)’은 연결된다.

체인묘는 체인문을 거쳐 들어가게 된다. 체인문은 삼문형태로 가운데 중앙칸을 제외하고 좌우 출입문과 계단이 연결되어 있다. 체인문 좌우로 담장이 둘러싸여 있고, 체인문을 들어서면 기단 위에 체인묘가 자리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2칸의 맞배지붕으로 단청이 되어 있다. 담장으로 구분된 공간 안에는 체인묘외에도 전사청이 자리하고 있다. 전사청은 평소에는 제기를 비롯한 제사도구를 보관하는 창고이다. 제사를 지내는 때가 되면 제사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으로 변화한다.

옥산서원에서는 음력 8월 중정일에 향사를 지낸다. 평상시 늘 닫혀 있던 체인문은 향사 때가 되면 비로소 열린다. 이곳에는 향사 때 독특한 풍습이 하나 전해오는데 바로 ‘야하(夜下)’’라는 풍습이다. 야하는 제사를 올리기 전 제관들이 먹는 간식이다. 미음처럼 간단한 것을 먹는다. 제관들의 허기진 배도 채우고, 공복에서 오는 입 냄새도 제거하기 위함이다.

체인묘 담장 너머 좌측으로는 비각이 자리하고 우측으로는 경각이 자리한다. 비각 앞에 ‘문원공 회재 이언적 신도비’라는 표지석이 비각의 존재를 알려주고 있다. 비각은 선조10년(1577)에 옮겨와 세운 것이다. 비각 안의 신도비는 비를 받치고 있는 받침대가 거북이 모습이다. 거북이 등문양이 아직도 선명하다. 신도비의 비문은 고봉 기대승이 짓고, 글씨는 이산해가 썼다.

체인묘 우측에 자리한 경각은 서원의 도서관이다. 서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책과 판본이다. 그래서 서원의 책은 서원 밖으로 내보내지 않은 것이 서원의 규칙이었다. 선조 6년(1573)에 경주부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내졌던 삼국사기가 2018년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되기도 했으니, 책에 대한 서원의 규칙은 훗날에도 이렇게 좋은 귀감이 된다.

서책을 보관하는 경각은 눈에 잘 띄고 관리하기 쉬운 곳에 배치한다. 1554년에 세워진 경각은 2단의 축대 위에 자리하고 있어 비교적 눈에 잘 띈다. 경각 앞에 심어진 나무 한그루도 경각의 풍경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동재와 서재의 ‘민구’와 ‘암수’에서 지향하는 바는 옥산서원의 경각에서 완성된다. 이언적 선생이 나아가고자 했던 방향성을 완성하고자 제자들은 이곳에서 불철주야 노력을 했을 것이다. 그들의 노력을 본받고 싶은 나날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