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함께하는 경영]공유경제의 지속가능성

 

 

 

공유경제란 무엇을 소유하는 경제활동이 아니라 공유하기 위한 경제활동으로, “경쟁이 아닌 상호 협력적,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소유할 필요 없이 빌려 쓰고, 필요하지 않은 것은 타인에게 빌려주는 공유 소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개념은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로런스 레시그(Lawrence Lessig) 교수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이다. 최근에는 경기침체와 환경오염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돼 쓰이고 있다.

공유경제는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이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인이 갖고 있는 소유물을 쉽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공유 플랫폼들이 만들어지고 커뮤니티가 형성되면서 누구나 쉽게 공유경제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uber), 숙박시설 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airbnb), 공유 사무실 서비스 위워크(wework) 등이다.

에어비앤비 이용자는 자기가 사는 집을 출장이나 긴 여행으로 비우는 동안 다른 이용자에게 얼마간의 돈을 받고 빌려준다. 여행자가 머물 곳이 부족하다고 모텔이나 호텔 등 새로운 숙박시설을 짓는 대신 에어비앤비가 활성화하면 이미 있는 집을 활용할 수 있다.

미국의 집카(Zipcar)는 자동차를 공유하는 서비스다. 여러 사람이 한 대의 자동차를 공동으로 소유하여 시간 단위로 나눠쓰는 시스템이다. 차를 쓰지 않는 시간에 발생하는 시간적 낭비와 차량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원적, 환경적 문제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우버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를 타려는 사람과 태워주려는 사람을 이어주는 서비스이다. 이용자가 우버를 다운로드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차종을 입력한 후 실행하면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차량과 연결된다.

에어비앤비와 집카, 우버 등은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국내에도 유사한 서비스가 여럿 있다. 에어비앤비처럼 집을 공유하는 서비스로 코자자 등이 있고, 차를 공유하는 그린카, 쏘카도 서비스 중이다.

공유사무실이라 불리우는 ‘코업’, 의류나 잡화를 교환할 수 있는 ‘키플’, 정장공유서비스 ‘열린옷장’, 개인용품을 빌려주는 ‘원더렌드’, 공간을 공유하는 ‘비앤비히어로’, 서가공간과 책을 나누는 ‘국민도서관 책꽂이’ 등이 공유경제 비즈니스 기업이다.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것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써 사회의 유휴자원도 활용하고 지역경제도 활성화하는 공유경제 모델은 지난 10여 년 동안 각국 정부와 민간분야를 포함해 전 세계로 확산되는 중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유경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등장하였다. 공유경제 기업들은 기존과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며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대규모 투자를 받으면서 성장해 왔다. 하지만 이들 기업 중 일부는 성과가 초라했고, 여전히 적자를 내는 중이다. 또한 각국 정부의 규제들도 걸림돌이다.

특히, 공유경제가 기존에 없던 서비스다보니 기존 산업과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 카 셰어링 업체와 택시 기사 혹은 자동차 제조사 간의 갈등, 호텔 등 숙박업소와 빈집 공유 업체 간의 갈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기존 경제 체제와의 충돌은 공유경제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공유경제의 폭발적인 성장세와 가능성은 이미 증명되었지만, 불과 몇 개월 사이 세상의 모든 것들이 코로나19 사태에 의해 변해버렸다. 바이러스 전염 위험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울한 전망들이 쏟아지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카 셰어링’이나 ‘카풀’이 일상화되면서 자동차는 대표적인 공유경제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자동차 업계는 차량공유 서비스에서 차츰 손을 떼고 있다.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할 만큼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데다, 코로나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 한 점이 결정적 요인이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바이러스 전염에 대한 안전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유경제 모델은 성공과 실패의 분수령에 위치해 있다. 공유경제 기업에 대한 기대가 너무 컸었던 탓일까. 과연 공유경제 시스템이 점차 쇠락의 길로 향할 수밖에 없을 것인지 사뭇 궁금해진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