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유산여행]공자의 도가 깃든 대구 ‘도동서원’ 4

 

 

 

대구 달성 도동서원은 한훤당 김굉필과 한강 정구를 배향한 서원이다. 한훤당 김굉필은 단종2년(1454)에 태어나 연산군 10년(1504)에 5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김굉필 선생이 태어난 시기와 생을 마감한 시기를 봤을 때 직감적으로 그리 평탄한 삶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김굉필 선생이 태어난 해인 단종2년은 수양대군이 모든 권력을 장악한 이듬해이다. 그 뒤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난 것은 김굉필 선생이 1세 때이다. 즉 김굉필 선생은 왕실이 임금의 자리를 놓고 권력다툼이 무척이나 거세었던 혼란한 틈바구니에서 태어난 것이다. 또한 김굉필 선생이 생을 마감한 시기는 연산군 10년으로 갑자사화가 있었던 해이다.

김굉필 선생은 27세의 나이에 생원시에 합격해 벼슬길에 오른다. 30세가 되어서야 후진양성에 힘쓰게 되고, 41세가 되어서야 관직에 나아갔다. 그리고 불과 4년만인 45세에 조선 최초의 사화로 알려진 무오사화의 회오리 속에 평안도 희천으로 유배를 가게 된다. 그 뒤로 유배지가 전라도 순천으로 옮겨지게 되고, 51세의 나이로 갑자사화로 인해 생을 마감하였다.

김굉필 선생이 무오사화와 갑자사화의 희생양이 된 것은 그가 김종직의 제자라는 이유 때문이다. 한양에서 태어나 나름 서울사람이었던 김굉필 선생은 결혼 후 21세의 나이에 김종직의 제자가 되었고, 이 인연으로 인해 그는 결국 무오사화와 갑자사화의 희생양이 되어 죽음을 맞이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죽은 그를 되살린 것은 제자 조광조이다. 조광조는 평안도 희천 유배지에서 만난 제자였다. 중종반정 이후 신원이 복권되었던 김굉필의 문묘배향을 처음 주장하고 나선 것은 제자 조광조이다. 여기에 퇴계 이황이 힘을 보태면서 김굉필 선생의 문묘배향은 이루어졌다. 김굉필 선생의 스승과 제자가 그의 삶과 죽음, 그리고 그의 명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이다.

김굉필 선생은 소학동자로 알려져 있다. 스승 김종직을 만나 처음 접한 책이 사람을 만드는 책으로 알려진 소학이었다. 소학은 당시 조선시대 아동 교육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왕세자 교육에서도 필수교재였다. 소학은 청소하는 것부터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에게 공경하는 것을 비롯해 마음가짐과 몸가짐, 부모자식, 군신, 그리고 어른과 아이의 관계 등을 통해 사람이 사람다운 이유가 예와 의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교재였다. 김굉필 선생은 10여년의 세월동안 이 소학만 파고들었다. 그래서 소학동자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의리 학문을 실천했던 김굉필 선생은 정몽주의 학문을 정통으로 잇는 이로 추앙 받고 있으며, 이는 스승 김종직을 뛰어넘어 문묘에 배향된 동방 5현 중 한 사람이 될 수 있었다.

김굉필 선생이 모셔진 사당은 도동서원 강당인 중정당을 지나 직선으로 벋은 계단을 올라야 만날 수 있다. 계단의 입구 양쪽에 새겨진 문양이 눈에 들어온다. 왼쪽은 태극문양, 오른쪽은 만(卍)자이다. 새겨진 방법도 태극문양은 양각으로 만(卍)자는 음각으로 새겼다. 직선으로 곧게 뻗은 계단 길을 오르면 계단길이 나뉜다. 그리고 특이하게 삼문의 가운데와 동쪽으로만 계단길이 이어지고 서쪽에는 길이 없다.

사당은 없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 현판이 없다. 사당 내부 중앙에 김굉필 선생의 위패가, 서쪽에는 도동서원을 지은 한강 정구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정구의 위패 위로는 벽화가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동서원 중심축으로 연결되는 계단 길은 가장 밑바닥에서부터 다른 곳에 한 눈 팔지 않고 생활 속에서 정직하게 학문을 추구했던 김굉필 선생을 닮은 듯하다. 이상만 화려한 학문이 아닌, 생활 속에서 기본을 지켜가며 실천하는 것이 학문의 시작이자 완성이라는 것을 김굉필 선생을 통해 깨닫는다. 삶과 배움에 대해 고민이 있다면 도동서원에서 김굉필 선생을 통해 통찰해보자. 우리 삶에 해답의 길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