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인천공판장에 대해 ‘수산물 물류가공센터’를 건립키로 하자 인천수협을 비롯한 옹진, 영흥, 경인북부수협 등 4개조합의 조합원 3천여명이 발끈하고 나섰다.
17일 수협중앙회는 중구 항동 7가 62 현 인천공판장 2만3천100㎡ 부지에 지상 4층, 연면적 3천517㎡ 규모로 수산물 가공물류센터 건립을 위해 인·허가를 추진 중에 있다.
수산물 가공물류센터에는 선어와 건어 작업장, 포장실, 해동실, 냉동창고 등을 갖추고 연간 1만여톤의 수산물을 가공처리 하게 되며 연내에 착공해 내년 6월 완공할 계획이다.
이에따라 수협중앙회는 중구에 건축허가서를 제출하고 착공계획에 들어갔다.
그러나 인천수협을 비롯한 4개 지역조합은 가공물류센터가 들어설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수산물가공센터’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이를 지역수협에게 관리 이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수협중앙회 인천공판장은 지난 1974년 어항 개항 이후 30여년간 운영하면서 연간 1천여억원의 위판 수익을 올리는 등 현재까지 위판액은 약 2조5천600억원에 이르고 있다”고 밝히고 “수협중앙회가 여수를 비롯한 마산, 목포 등의 공판장을 지역 수협으로 넘겨줬으나 인천지역의 공판장은 그 수익성이 높아 넘겨주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위탁판매수수료는 약 920억원 상당의 이익금으로 수협중앙회의 발전에 밑거름이 됐으나 지역조합에는 전혀 그 기여도가 없다”며 “하루빨리 수협중앙회 인천공판장을 지역 수협으로 관리권을 이양할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