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기도의회 경제투자위원회 김기선 의원 |
“최근까지 진행된 기업애로사항은 거의 형식적인 차원에서 운영됐다. 기업들의 불만도 컸다.” 경기도의회 경제투자위원회 김기선(한·용인3) 의원은 “기업애로는 복합적이고 전문성이 요구된다. 도내 기업이라 할지라도 시·군·국가기관 등이 관련되며 자금·판로·기술 등이 상호 연관돼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기관별 사업이 아닌 국가 차원의 사업이 돼야한다”고 평가했다.
현재 기업애로사항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중소기업청 등 각 정부부처와 지자체에서 진행중이다. 이에대해 김기선 의원은 “이들 정부기관들은 서로가 기업애로사항을 해결해준다고 나선 상태다. 하지만 주관부서가 애매해졌을 뿐만 아니라 정보공유마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은 이원화는 기관별 생색내기나 다름없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봐도 복잡한 상태다. 기업들의 불만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경부, 행안부 등으로 나뉘어 기업애로사항을 해결하기 보다는 한 부서가 주관이 되거나 새로운 특별기구를 설립, 각 시·도, 시·군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함께 진흥청과 산림청 등까지 포괄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며 “지방정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직접 맡기면 되고 복합적으로 해결할 문제는 중앙정부가 나서 기업들의 어려움을 덜어주면 되는 것 아니겠냐”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기업들의 자금지원 부분도 통합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부처님 오신날 화성시 소재 한 기업인이 상담을 요청해왔다. 정부가 지원해주는 자금을 중소기업청을 통해 받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렸다는 내용이다”며 “지역신용보증재단 등에는 연락해보지 않았냐고 물었더니 몰랐다는 답변을 들었다. 이같은 자금지원 시스템에도 이원화에 따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만한 중소기업지원방안에 대한 통합시스템도 단일화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며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는 기업들의 어려움은 현장을 방문해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한다면 제도 개선 방안이 조속히 실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또 있다. 지방균형발전의 잘못된 인식이다.
김기선 의원은 “수도권에 있는 기업 상당수가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도권을 규제하면 지방이 산다’는 잘못된 인식이다”며 “김문수 경기도지와 임태희(성남) 국회의원이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가중시키는 규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 의원들도 수도권 규제, 상수원 규제, 군사지역 규제, 그린벨트 규제, 농지 규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