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결식을 끝으로 공식 애도기간이 종료하면서 여야는 포스트DJ 정국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일단 정가에서는 이번 영결식을 통해 정국은 대화합을 이룰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 이유는 이명박 대통령이 이번 영결식에 적극적으로 협력을 했기 때문. 이 대통령은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김 전 대통령의 장례형식을 국장으로 결정하는데 공헌을 했다.
더군다나 북측 조문사절단을 23일 접견하면서 얼어붙었던 남북 경색을 풀 의지를 보여왔다. 민주당의 입장에서는 무조건 경색된 정국을 유지할 명분이 없다는 것.
더군다나 이 대통령은 이미 행정구역 개편 등 정국 현안에 대해 개혁 의지를 내비쳤다. 행정구역 개편의 최대 수혜정당은 민주당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반발을 하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9월 정기국회와 10월 재보선의 스케줄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경색된 정국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변수는 있다. 우선 미디어법 관련 민주당 장외투쟁이 아예 접은 상황은 아니라는 것. 현재 김 전 대통령의 국장 때문에 미디어법 관련 장외투쟁을 잠시 미뤄두었지만 언제든지 속개할 수 있다. 민주당이 미디어법 장외투쟁을 계속 이어간다면 한나라당으로서도 민주당의 장외투쟁을 계속 좌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정국은 언제든지 경색될 수 있다.
게다가 민주당과 한나라당 역시 10월 재보선에 올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국은 경색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남 양산의 경우 한나라당은 박희태 대표가 출마를 한 상황이고 민주당으로서는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향이 다소 있는 곳이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양당은 격돌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