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능력과 연령은 반비례한다?
시니어들은 젊은층이 기피하는 일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나서는 이들이 많다.
이는 시니어들이 소득창출 보단 사회참여 기회를 통해 활기찬 노후생활을 원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과거에 60대가 최근엔 70대와 비유될 만큼 시니어들의 건강관리 및 수명이 증가해 시니어들이 사회참여 기회를 갖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근로능력이 있는 시니어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고용자들이 이들의 고용을 기피한다.
보건복지가족부도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60세이상에게 일자리를 보급해 사회참여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도 마찬가지다.
세계가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지만 시니어들의 사회참여기회의 문은 바늘구멍이다.
또한 시니어들의 사회참여기회는 관공서와 기업체 등을 막론하고 극히 제한적이다.
도내 60세이상의 시니어는 136만여명이며, 사회참여 희망자가 10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대한노인회 취업지원센터에 따르면 사회참여 희망자가 2만3천여명에 달하며, 이중 장기취업(3개월이상)자가 9천700여명으로 전체 42.3%만이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이들의 사회참여는 직종별로 경비 2천471명, 청소 1천791명, 위탁사업 1천94명, 수공업 공동작업 635명, 골프장 관련 624명, 산림관련 403명 등이며 이밖에 행정사무직은 19명, 교육·강사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관공서 및 기업체 등에서 젊은이들과 견주어도 손색없고, 능력있는 시니어들을 위한 다양한 직종의 사회참여기회를 제공해야한다.
정년후 시니어 생활에 대비한 철저한 준비로 문화관광해설사가 된 시니어와 (사)대한노인회 경기도연합회 회장에게 시니어의 사회참여에 대한 전언을 들어봤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