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실태조사 결과 보고
중소기업의 절반만이 올해의 경영상황이 지난해보다 개선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식경제부는 2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달초 관계부처 합동으로 실시한 562개 중소기업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올해 상반기 기준 101억9천600만원으로 지난해 전체 평균 174억7천200만원, 2008년 평균 160억원 등과 비교할 때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응답 기업의 50.3%만이 경영상황이 개선됐다고 응답, 체감경기는 대기업과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부품 분야는 전반적인 회복세지만, 2차 이하 일부 협력업체는 원자재 가격 상승분의 납품단가 반영률이 낮아 불만을 제기했다.
기계 및 기계부품은 복잡한 하도급 구조로 납품대금 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었고, 범용부품을 공급하는 휴대전화 분야는 업체간 경쟁이 심하고 단가인하 압력을 높게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2~4차 협력사가 주를 이루는 뿌리산업의 경우 실적은 호전되고 있으나 수익성은 제자리로, 기능 인력 수급난이 심각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에 비해 납품단가 반영률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1차 협력업체들에 비해 2차 이하 협력업체들의 체감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출기업과 연계된 중소기업보다 건설자재, 의류 등 내수 위주 업종의 회복세가 느렸다.
지경부는 중소기업의 체감경기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하도급 거래 ▲인력수급 ▲자금조달 애로 등 3가지였다고 설명했다.
하도급 거래의 경우 2차 이하 협력업체와 범용기술 기업일수록 문제를 많이 제기했다.
범용기술 기업이나 뿌리산업 등 3D업종 기업들은 전반적인 기능인력 부족을 호소했고, 기술력이 높은 중소기업은 R&D(연구개발) 인력 등 전문인력 채용에 애로를 지적했다.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달까지 관계부처 합동 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홍성민 기자
hsm@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