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개인 및 법인택시업계 노조위 대표자를 대상으로 2014년까지 택시중장기공급을 위한 총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택시 95대의 증차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으나 법인과 개인택시 간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0년 10월부터 11월까지 한국경제연구소에 의뢰해 고양시 택시 200여대를 대상으로 가동률 및 승차율을 표본조사한 결과, 시의 택시 적정대수는 95대 늘어난 2천860여대로 조사됐다.
현재 시 관내에는 현재 법인택시 717대·개인택시 2천50대 등 2천767대가 등록, 운행중이다.
시는 국토부 택시총량산정 개선지침에 따라, 지난 2009년에도 택시총량조사를 실시했으나 개인택시와 법인택시간의 가동률의 현격한 차이가 발생해 법인택시만을 적용하고 국토부와 경기도에 총량산정기준의 명확한 해석을 요구해 왔었다.
그러나 시는 최근 식사ㆍ덕이지구 등 택지지구 입주에 따른 교통량변화에 부응하고 기간 경과에 따른 현실성을 확보키 위해 이번 택시총량 재조사를 단행했다.
이와 관련, 법인택시노조측은 “고양시의 택시수요는 수원시 등 타 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며 “100만 도시에 걸맞게 증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개인택시조합측은 “계속되는 불경기에 따른 수입의 현실성을 감안해 감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증차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시민의 택시교통 편의에 초점을 두고 현재 필요한 량을 산정할 것”이라며 “향후 식사·덕이·삼송지구 등 택지개발지구까지 고려, 정확한 택시총량이 산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