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8대 대선을 꼭 1주일 앞둔 12일 장거리 로켓을 전격 발사하면서 대선정국의 막판 변수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오차범위 내 박빙의 승부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불거진 이번 ‘신북풍’이 대선판에 직·간접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두 후보가 세 불리기 경쟁을 가속화하면서 혼탁·과열 양상을 보여온 대선 정국이 일시에 ‘안보정국’으로 전환될 공산마저 높아지고 있다.
대선후보의 자질 논란에 더해져 두 후보의 외교·안보·대북 공약과 더불어 한반도 위기관리 능력이 핫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이날 유세에서는 박 후보가 ‘국가관’을 강조하고 나선데 맞서 문 후보는 현 정부의 ‘안보무능’을 비판하는 공세로 불을 지피고 있다.
박 후보는 경북 포항역 유세에서 “지금 애국가 부르기를 거부하고 국기에 대한 경례도 하지 않으려는 세력이 있는데 그런 세력과 동조하는 사람들에게 나라를 맡길 수는 없지 않느냐”면서 “국가관이 확실한 세력을 선택해 주기 바란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문 후보는 충북 청주유세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의 행위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면서 “정부가 어제까지만 해도 북한이 미사일을 분리해체해 수리하고 있다고 했는데 위성으로 담뱃갑 크기 만한 것도 식별하는 시대에 건물 20층 높이 로켓의 분리 여부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도 북한 로켓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면서도 정치적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 후보측 이상일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유엔과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하고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해치는 명백한 도발행위”라면서 “북한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만큼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후보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반대여론을 무시하고 고립의 길로 접어드는 것은 남북관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향후 북한은 국제사회 여론에 귀를 기울이고 남북관계에 위협이 될 어떤 행위도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