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20일 대선 패배 이후 공황 상태에 빠진데다 수습책 마련을 위한 당 지도부도 공백상태를 맞으면서 향후의 활로 마련에 귀추가 주목된다.
대선 패배에 따른 당의 정상화를 위해 수습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조만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대선 과정에서 이해찬 전 대표 등 지도부가 총사퇴, 문재인 후보에게 전권을 위임한 상태여서 지도부 공백상태나 다름없다.
하지만 대선 패배의 무한책임을 진 문 후보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기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당내의 대선 패배 책임론까지 거론되고 있어 거센 후폭풍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의원총회 소집 요구하는 조짐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당의 주류를 이끌어온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에 대한 성토가 적지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당분간 당내 진통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계개편 등 야권의 새판짜기 가능성도 부상하고 있다.
민주당이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진정한 쇄신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존 민주당을 넘어서는 새로운 형태의 정당체제 구축이 불가피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정당쇄신의 경우 곧바로 신당론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찬반 논란과 함게 극심한 내홍을 부채질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대두되고 있다.
도내의 한 재선의원은 “대선 때 구축된 ‘국민연대’에 민주당과 진보정의당, 시민사회 인사들이 결합해 있는 상태”라며 “국민연대가 더 큰 민주당, 환골탈태한 민주당의 모태가 될 수 있을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신당 창당 등 정계개편론이 본격적으로 부상할 경우 안철수 전 후보가 상수로 등장할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는 당내 인사로는 새로운 리더십을 발휘하고 쇄신을 주도하기에 한계를 지녀 안 전 후보의 등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연초부터 이같은 당내의 주도권다툼이 본격화할 조짐이다.
한편 문 후보는 이날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시에 참석, “제가 새로운 정치, 새로운 시대를 직접 이끌어보겠다고 생각했던 꿈, 그것은 끝났다”면서 “다음에는 더욱 더 좋은 후보와 함께 세 번째 민주정부를 만들어내는 일을 반드시 성취하길 바란다”고 밝힌 뒤 주요 당직자 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감사와 함께 미안함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