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와 이용섭 정책위의장이 잇따라 사퇴하는 등 민주당이 대선 패배의 후폭풍에 휩싸여 ‘쇄신형 비상대책위원회’ 인선을 놓고 폭풍전야를 맞고 있다.
특히 대선 패배 결과를 둘러싸고 주류측이 박 원내대표 사퇴와 맞물려 후속 지도체제 구축을 위한 전열 정비에 착수, 비대위 체제로 가닥을 잡았지만 비주류 그룹은 “대선 패배에 대한 냉철한 평가가 먼저”라며 문재인 전 대선 후보와 친노 주류그룹을 압박하고 나서 계파간 갈등도 커지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21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처절한 성찰과 치열한 혁신의 길을 가야 한다”면서 “저 역시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원내대표직 사퇴를 선언했다.
주류 그룹과 가까운 김진표(수원정) 의원은 의총 비공개 부분에서 “잘잘못을 따지지 말고 서로 상처를 보듬고 격려하자”며 “낮은 자세로 단결하고 한 목소리를 내자”고 단합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비주류 그룹은 친노 주류측이 박 원내대표 사퇴로 사태를 서둘러 봉합하려고 한다는 의구심을 보이면서 책임론 공세를 강화할 태세다.
비주류 인사들로 이뤄진 쇄신모임 소속 일부 의원들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 앞서 긴급 회동을 갖고 ‘선 진단, 후 수습’에 의견을 모은 상태며, 친노 그룹의 성토와 함께 문 전 후보가 선거 과정에서 의원직 사퇴의 배수진을 치지 않은데 대한 비판도 나왔다. 26일 자체적으로 대선 평가 토론회도 가질 예정이다.
비주류 측의 이같은 입장에는 비대위 등 향후 지도부 체제 구축과정에서 책임있는 인사들의 2선 후퇴를 요구하는 기본인식도 깔려 있어 향후 비대위 구성 및 원내대표 선출 등 당내 지형개편 과정에서 계파간 권력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새로 구성될 비대위원장 등 비대위 인선 문제를 놓고도 계파간 충돌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주류측은 문 전 후보가 후임 원내대표가 아닌 별도의 비대위원장을 지명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비주류쪽에선 문 전 후보가 즉각 당 대표 권한대행을 내려놓아야 하며, 의원들이 뽑는 후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해야 한다는 기류가 많은 상태다.
한편 새 원내사령탑에 누가 오를지 관심이 모아 대선 패배 후 주류와 비주류 간의 공식적인 첫 세대결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주류 측의 4선의 신계륜 의원이 물망에 오르면서 비주류 측은 초선의원을 중심으로 3선의 조정식 의원이 거론되는 등 40∼50대의 개혁주자가 원내사령탑을 맡아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지난 원내대표 선거에서 2위로 낙마한 3선의 유인태 의원도 양측의 절충 후보로 꼽힌다.
지난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했던 4선의 이낙연, 3선의 전병헌 의원도 출마할지 주목되고 있으며, 비주류이 요구하는 비대위원장과의 겸직시 4선의 원혜영(부천 오정)·김한길 의원도 떠오르고 있어 24일 의원총회를 거쳐 윤곽이 드러날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