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당선인이 차기 정부에서 내세울 변화와 개혁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여성 및 이공계 출신, 탈 영남 인사의 대거 발탁과 함께 정치권과 행정부에 대한 고강도 개혁드라이브를 예고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대선 승리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지난 20일 현충원을 찾은 자리에서 방명록에 “새로운 변화와 개혁의 새 시대를 열겠다”고 적은데 이어, 오는 26일쯤으로 예상되는 인수위 인선 발표와 함께 대통령직 인수 절차 진행을 위한 숙고에 들어가 새 정부 출범을 향한 정권 인수에 본격 시동이 걸렸다.
박 당선자는 22일 밤 트위터를 통해 “다가오는 성탄절을 맞이해서 나눔과 사랑의 따뜻한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며 “앞으로 국민 여러분이 기다려온 국민 행복시대를 열겠다”고 각오를 다지는 것으로 ‘성탄절 메시지’를 전했다.
박 당선자는 정치권은 물론 행정부에 대한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정치권에 대해 친노(친노무현)나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과 같은 ‘계파 정치’를 없애는 정치쇄신 공약을 철저히 실천에 옮긴다는 복안이며, 국무총리의 실질적 권한 보장 등 헌법에 규정된 ‘3권 분립’ 정신에 충실한 고강도 개혁을 예고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와 함께 행정부에 대해서도 강도높은 개혁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져 ‘3권 분립’에 따라 응당한 권한을 주되 시대 흐름에 맞게 자기 개혁·변혁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여성·이공계 인사의 대거 발탁 및 탈영남 인사가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상징하는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당선인은 여성 대통령이 변화의 출발이라고 선거 내내 강조해온 터라 차기 정부 인선에서 이런 변화의 조짐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여성에게 ‘유리천장’과 같았던 정부 요직이나 핵심적인 자리에 능력있는 여성 인재를 과감하게 발탁할 가능성이 큰 상태다.
탈영남 인사의 적극적인 발탁은 ‘국민대통합’ 콘셉트와도 직결되면서 인수위 및 차기 정부의 인선에도 그대로 직결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현재 인선을 구상 중인 인수위원장이나 국무총리에 대해 호남출신 인사의 하마평이 폭넓게 나오는 것도 박 당선인의 의지와 맥이 닿아 있다.
이공계 인사의 적극적 기용도 박 당선인이 보여줄 변화의 상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수위 인선 발표에 앞서 당선인 비서실장과 대변인은 빠르면 24일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경기·인천 지역의 윤상현(인천 남을)·유정복(김포) 의원 등의 기용 가능성이 오르내리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