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비상대책위원장 겸 신임 원내대표를 연내에 선출, 대선 패배 이후 지도부 공백사태를 최소화하고 전열을 재정비하는 등 ‘뒷 수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당무위원 및 의원 연석회의를 열어 표결가지 벌이는 논란 끝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이언주 원내대변인이 밝혔다.
표결에서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를 겸임하는 의견이 45명, 분리선출 의견이 37명으로 팽팽히 맞섰다.
후보등록 및 선거 일정에 따라 비대위원장 겸 신임 원내대표는 28∼31일 중에 선출될 것으로 보이며, 임기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의 잔여임기인 내년 5월 초까지다.
유력한 후보로는 4선의 김한길·신계륜·원혜영(부천 오정)·이낙연·추미애, 3선의 박영선·유인태·전병헌·조정식(시흥을)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민주당은 18대 대선 패배의 원인 분석과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달내 선출될 비대위원장이 대선평가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했다. 시급한 현안인 언론과 노동 분야의 대책위원회도 구성한다.
이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대선 패배에 대한 의원과 당무위원들의 통렬한 반성이 있었고, 조속한 시일 내에 냉정하고 철저한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뤘다”고 말했다.
연석회의에 앞서 당무위는 대표권한대행인 문재인 전 대선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 권한 유무와 관련해 대표의 통상적인 업무가 아닌 것으로 판단해 권한이 없는 것으로 유권 해석했다.
민주당은 문 전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권 유무를 놓고 주류와 비주류가 팽팽히 맞선 데 이어 앞으로 원내대표 선출을 놓고 세력간 권력투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