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대선 패배 책임론과 당 수습방안을 놓고 격론을 벌이는 등 ‘포스트 대선체제’를 겨냥한 당내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민주당은 24일 5시간10분 간 개최한 당무위원회와, 당무위-의원총회 연석회의는 주류와 비주류, 친노(친노무현)와 비노 세력 간 대선 패배 원인과 정상화 해법을 둘러싸고 뚜렷한 시각차를 그대로 드러냈다.
이같은 양측간 입장차는 대선 이후 당 지도부의 공백사태 해소 및 수습책 마련을 위해 조기 비대위 구성에 나서야 한다는 주류측 입장과 달리, 비주류측은 기득권 유지와 당권 재장악을 위한 의도라며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논란 끝에 문재인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권한이 없다는 유권해석으로 일단락됐지만, 그동안 주류와 비주류 간 누적된 불만이 새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대선 이후 권력투쟁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런 기류를 반영하듯 주류와 친노를 향한 계파해체 요구까지 제기될 정도로 책임론이제기됐다.
안민석(오산) 의원은 “기득권을 버릴 용기가 있다면 계파해체 선언이 필요하고, 세대교체도 해야 한다”고 말했고, 김동철 의원은 “계파의 이익을 우선하고 계파가 아닌 사람을 배제하는 상황에서는 미래가 없다”고 탈계파를 역설했다.
김태랑 전 의원은 1997년 대선 때처럼 친노(친노무현) 인사들이 대선 승리 후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고 선언했어야 한다고 지적한 뒤, “이번에도 이런 논의가 있었지만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 등 2명이 서명을 안했다”고 비판했다.
질서있는 쇄신과 단합이 필요하다는 반론도 나왔다.
전해철(안산 상록갑) 의원은 “대선에 대한 질서있는 평가가 필요하지만 개인적 평가는 삼가야 한다”고 말했고, 원혜영(부천 오정) 의원은 “없던 일로 덮자는 것은 아니지만 갈등요인을 배제하고 단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당내 쇄신과 범야권 통합에 대한 원론적 공감대에도 불구, 방법론에 대한 각론에서는 이견을 드러내고 있어 앞으로도 대선패배 책임론까지 더해질 예정이어서 당내 갈등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비주류측은 친노 책임론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어 추가적인 인적 쇄신론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더구나 안철수 전 후보의 경우 당 쇄신 및 범야권 통합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어 ‘안철수 신당발’의 정개개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위기감도 작용하면서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