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주요 직책을 27일 발표할 예정으로 있어 인수위, 내각, 청와대 비서진으로 이어지는 새 정부의 인선이 본격화되고 있다.
인수위 사무실이 서울 삼청동 금유연수원으로 결정된데 이어 인수위원장, 부위원장, 총괄간사 등의 범위로 예상되는 이날 발표를 계기로 정권 인수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박 당선인은 26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소상공인단체연합회 임원단과 면담을 간진 뒤 “조만간, 빠르면 내일이라도 발표하겠다”며 인수위 인선 계획을 밝혔다.
박 당선인은 이어 “(인수위 인선) 다는 아니지만 부분 부분이라도 발표해 나갈 것”이라며 순차적인 인선을 예고했다.
당 안팎에서는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와 박 당선인의 대선공약을 토대로 향후 5년의 국정과제 선정이 인수위의 주요 업무인만큼 인수위원장과 인수위원들에 정책실무통 위주로 짜여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인수위가 100명 안팎의 철저한 실무조직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여 정책 능력을 가진 인사의 기용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인수위원장은 앞서 이뤄진 박 당선인의 비서실장·대변인 선임이 당초 예상을 벗어난 상태에서 대선 과정에 관여하지 않은 제3의 외부인사가 맡을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현재 인수위원장 후보로는 당내의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한광옥 전 국민통합특별위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외에서 박상증 전 참여연대 공동대표, 서울대 송호근 교수, 진념 전 경제부총리와 강봉균 전 재경부장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실무를 총괄하는 인수위 부위원장에는 현역 의원의 기용이 유력하게 점쳐져 대선공약을 입안한 진영 전 행추위 부위원장, 이주영 전 선대위 특보단장이 거명된다.
박 당선인은 인수위 출범 후 ‘박근혜 정부’의 첫 국무총리와 장관 후보자를 정하는 조각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