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27일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선출을 하루 앞두고도 여전히 대선 패배 책임론을 놓고 장외 공방을 이어갔다.
특히 비주류 측에서는 친노 책임론을 계속 제기하며 당 해체 수준의 강도높은 쇄신을 요구했다.
김영환(안산상록을)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에서 “선거에 책임있는 분들과 선거전략을 잘못 짠 분들은 자숙해야 할 때”라며 “‘싸우지 말아야 한다’, ‘과거보다 표를 많이 얻지 않았느냐’고 호도하는 것은 영원히 죽는 길을 택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국민은 민주당이 없어져야 한다는 생각까지 한다”면서 “당을 해체할 수준으로 쇄신해야 다시 희망을 만들수 있다”고 강조했다.
설훈(부천 원미을) 의원도 SBS 라디오에 출연해 “친노뿐만 아니고 이번 선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 분들은 모두 반성하고 자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패장은 할 말이 없는 것”이라고 주류 측을 겨냥했다.
친노 진영은 전날 ‘공동책임론’을 꺼내 들었다가 비판에 직면해 관련 발언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당내 일각에서는 최근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의 영입 문제가 거론되는 데 대해 대선 패배의 책임론을 회피하려는 방편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보내고 있다.
김 의원은 “지금 책임론에서 벗어나 호도하는 데에는 일정한 의도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지금은 ‘안철수’나 ‘안철수 신당’은 본질이 아니다.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자성과 반성, 대선평가에 대한 엄중한 결론을 내리고 나서 논의해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박기춘(남양주을)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지나치게 우리가 안 전 교수에 대해 의지하고 기다리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우리가 거기까지 생각할 경황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