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오는 15~21일 사이에 1월 임시국회를 열어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부조직 개편과 국무총리·국무위원 인사청문회, 쌍용차 문제와 정치쇄신과제 논의, 각종 민생법안 처리 등을 위한 의견조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국회쇄신특위의 활동을 끝내면서 정치개혁특위 가동방안을 합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달 안에 특위가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민주통합당 우원식 원내수석부대표도 기자간담회를 통해 “1월 국회 준비과정에서 특위 구성을 수석 간 회담 의제로 삼겠다”며 “1월 국회에서 정치쇄신특위 신설에 당력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1월 국회의 주요 쟁점으로는 해양수산부 부활·미래창조과학부 신설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 개편안,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국무위원 내정자 인사청문회, 쌍용차 사태, 정치쇄신 과제, 부동산 취득세 감면연장을 비롯한 각종 민생법안 등이다.
특히 이동흡 후보자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민주당이 그의 과거 보수성향 결정을 문제삼아 자진사퇴 또는 내정 철회를 요구하고 있어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1월 국회 개회가 사실상 굳혀지면서 2013년도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쪽지심사’, ‘밀실심사’에 이어 의원 외유 등으로 여야가 곱지않은 눈총을 받고있 는 가운데 기득권 내려놓기 등 새 정치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더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특위 구성도 탄력을 받고 있다.
정치쇄신특위에서는 예산결산위원회 상설화를 비롯해 무노동 무임금, 불체포 특권 포기, 국무위원 겸직금지 등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방안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아울러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제안한 의원정수 축소와 민주당이 내놓은 국회의원 세비 30% 감축방안도 논의 대상이며, 예산결산위원회 상설화 등도 다뤄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여야가 지난해 말 국회쇄신특위에서 합의한 ▲예산결산위원회 상설화 ▲국회의원 연금폐지 ▲국회의원 영리업무 겸직 금지 ▲회의방해 폭력행위죄 신설 ▲인사청문회 대상 확대 등의 입법화도 함께 진행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