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월 임시국회에서 ‘박근혜 정부’ 출범과 직결된 현안을 둘러싸고 치열한 기싸움과 논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쌍용차 국정조사 등 각종 현안에 대해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1월 임시국회 소집이 사실상 무산됐지만 2월 임시국회는 현행법상 자동 소집된다.
이번 2월 국회는 새 정부의 출범을 입법으로 뒷받침하기로 한 집권 새누리당과 대선 패배의 아픔을 딛고 정국주도권을 잡으려는 제1야당 민주통합당의 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우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면 국회 차원의 심의가본격화된다.
김용준 총리 후보자와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도 예고된다.
이에 따라 새 정부의 골격이라 할 수 있는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논의는 물론, 새 정부를 구성할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등 각료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최대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또 쌍용차 국정조사와 관련 접점을 찾지 못해 사실상 1월 임시국회를 열지 못한 만큼 이번에도 쌍용차 국조 문제가 재론되면 2월 임시국회의 정상 가동에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정치권이 민간기업의 노사문제에 개입해서는 안된다”며 절대 불가 입장을 정리했지만, 민주통합당은 “쌍용차의 본질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적격성 논란’에 휩싸인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임명동의를 놓고도 이미 형성된 여야간 전선에 불꽃이 튈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새누리당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발언 논란, 통합진보당 이석기·김재연 의원 자격심사 문제를 공론화할 움직임이 있으며, 민주통합당은 4대강 국정조사와 언론사 청문회 등을 쟁점으로 부각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