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4일 오전 국회에서 6인 회동을 갖고 정부조직 개편안의 국회 처리를 위한 공식 협의에 들어갔다.
이날 회동에는 새누리당 진영 정책위의장과 김기현 원내수석부대표, 강석훈 의원, 민주당 변재일 정책위의장과 우원식 원내수석부대표, 이찬열 의원이 참석했다.
새누리당은 오는 25일 ‘박근혜 정부’ 출범에 지장이 없도록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여야 합의대로 오는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하자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협조할 것은 협조하겠으나 ‘공룡부서’로 신설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기능, ‘통상+산업’ 융합 등 논란에 대해서는 충분히 따지겠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기류는 양당 대표의 언급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출범을 준비하는 정부조직법과 인사청문회를 제때에 잘 마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회의에서 “새 정부 출범에 최대한 협조한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으나 정부조직 개편과 인사청문회 등 조각 문제는 제대로 된 논의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에서는 외교통상부의 통상 기능을 신설되는 산업통상자원부로의 이관과 ‘안전행정부’ 명칭변경 등에 부정적이어서 일부 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날 6인 회동에서도 양측은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견해차를 드러낸데 이어, ‘6인 협의체’ 구성 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여 향후 개편안 처리 과정에서 진통을 예고했다.
새누리당 진영 정책위의장은 정부조직 개편안에 민주당의 대선 공약이 상당수 반영됐다며 “민주당도 큰 틀에서 동의해 협의하는 데 큰 문제점은 없으리라고 생각한다”고 원만한 협조를 당부했다.
그러나 민주당 변재일 정책위의장은 “제왕적 대통령제 폐해 극복, 책임총리제 정착, 경제민주화 및 복지가 반영되지 않았다. 오히려 반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부정부패 축소와 특권횡포 차단을 위한 제도적 장치도 미흡하다”고 시각차를 보였다.
양측은 ‘3+3’ 방식인 여야 협의체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