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 출범을 앞둔 ‘박근혜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국회 본회의 처리가 여야 이견으로 결국 무산됐다.
하지만 여야는 물밑접촉을 통해 방송통신위원회의 신설 미래창조과학부 이관 및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중소기업청 격상 및 통상교섭처 신설 등 핵심쟁점에 대한 협의를 재개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해 2차 처리시한인 오는 18일 이전에 타결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인수위 제출의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원안 처리를 고수하고 있는 반면 민주통합당은 방통위의 미래창조과학부 이관 및 산학협력 기능의 교육부 존치 등 6개항을 요구하면서 팽팽히 맞서 지난 7일 이후 ‘5+5 여야 협의체’를 통한 논의가 중단됐다.
이같은 난항 속에 새누리당은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4자회담을 통한 원샷 타결을 제안하고 나섰고, 민주당은 국회선진화법에 따른 행정안전위원회의 안건조정위 설치를 주장하며 여당을 압박하는 등 공전을 거듭해 왔다.
이로 인해 당초 여야가 합의한 조직 개편안의 14일 처리가 무산되면서 일단 18일 본회의로 넘어가게 됐다.
양측의 떠넘기기식 날선 책임공방도 이어졌다.
새누리당 김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나한테 일할 도구를 만들어 달라’고 하는데 이를 안만들어주고 가로막는 것은 말이 안되며 새 정부 출범의 발목잡기”라고 비판한데 맞서 민주당 박기춘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여당은 원안만 고수하겠다고 한다. 국회가 지나가는 정거장이라는 말인가”라고 맞받았다.
이런 가운데 양당 원내수석부대표가 비공식 접촉을 갖고 재차 물밑 조율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다음주 초 예정인 본회의까지 타결될지의 여부도 불확실한 상태여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