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안이 여야 간 협상 난항으로 18일 본회의에서도 처리되지 못했다.
당초 여야가 합의했던 정부조직 개편안 1차 처리 시한(14일)을 넘긴 데 이어 2차 처리 시한인 이날마저 넘겨 1주일 앞으로 다가온 새 정부의 출범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이에 따라 박 당선인은 취임 초기 ‘이명박 내각’과 국무회의를 열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야는 이날 오후 2시로 예정돼 있된 국회 본회의를 열지 않았다.
앞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17일 양당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원내수석부대표가 참여한 ‘6인 회담’ 형식으로 협상을 벌였으나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 기능의 미래창조과학부 이관 등 핵심 쟁점에 대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
민주당은 방송정책 기능을 방송통신위원회에 남겨둬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조직 개편이 확정되지 않았음에도 박 당선인이 17일 미래창조과학부를 포함한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발표한 것도 야당의 반발을 샀다.
이런 상황에서 여야는 협상 타결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물밑접촉을 계속 해 나갈 예정이다.
다음 본회의는 박 당선인의 취임식 다음 날인 26일로 잡혀 있다.
그러나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극적 타결이 이뤄질 경우 ‘원포인트’ 본회의가 여야 합의로 26일 이전에도 열릴 수 있다.
개정안 처리가 늦어지면서 새 정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일정 역시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미래부, 해양수산부 등 신설 부처 장관의 인사청문회는 개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여야는 이날도 정부조직 개편안 처리 지연에 대한 책임을 떠넘기며 ‘네 탓 공방’을 이어갔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이 발목잡기를 심하게 하고 있다”며 “선거에 패배한 세력이 자기들 마음대로 정부조직을 만들겠다고 한다면 민주주의가 되겠느냐”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민주당 박기춘 원내대표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시도위원장 연석회의를 통해 “야당이 새 정부 출범을 돕고 싶어도 도울 명분이 없다”며 “새누리당은 인수위와 충분히 협의하고 당선인을 설득해 수용가능한 방안으로 협상에 임해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