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사흘간의 청문회를 진행하면서 첫날의 국정운영 능력 점검에 이어, 21일과 22일 이틀간 정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급여 등 신상 관련 의혹을 검증키로 합의함에 따라 큰 논란없이 차분하게 진행됐다.
새누리당 김희정 의원은 “‘방탄총리, 대독총리, 의전총리’라는 오명을 들은 사람이 많은데 국민이 바라는 총리는 ‘책임총리’”라며 “정 후보자가 생각하는 책임총리라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정 후보자는 “책임총리는 총리에게 부여된 헌법의 권리·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것”이라며 “각료 제청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게 중요한 역할이며 당연히 해임건의권을 행사해야 한다”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단행한 17명의 장관 인선과정에 대해 제청권을 행사했다고 밝혔다.
반면 야당 의원들은 정 후보자의 실질적 제청권 행사에 의구심을 내비쳤다.
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정부조직법이 국회를 통과하지도 않았는데 정부조직 직제에 없는 부처 장관 제청을 한 것이냐”며 “여러 사유가 있겠지만 현행법 위반이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이춘석 의원은 “책임총리는 책임질 때 책임을 지는 것”이라며 “명실상부한 제청권을 행사했으므로 도대체 장관이 될 수 없는 사람을 추천했다면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압박했다.
신상 검증을 앞둔 날선 지적도 잇따라 예금증가에 따른 전관예우 의혹 및 부동산투기 의혹, 편법 세금면제 의혹, 아들의 병역면제 등에 대한 공세를 예고했다.
전병헌 의원은 도덕성 검증을 위한 자료제출을 촉구하면서 “아들 부부에게 후보자와 외삼촌에 의한 4년간 4억7천만원의 증여가 있는 등 국민 눈높이, 상식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춘석 의원도 고문변호사 시절 매달 3천만원 가량의 급여를 받은 점을 거론, “정 후보자가 몸을 낮추기는 했지만 보통사람으로 여기는 국민을 별로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고, 정 후보자는 “과거의 제 비전이 보통사람이고 지금 마인드도 보통사람”이라고 맞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