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일본의 엔저 현상과 관련, “우리 기업이 손해보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 당선인은 이날 한국무역협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잇따라 방문해 협회 회장단과 티타임을 가진 자리에서 “엔저 상황과 각 나라의 환율정책이 수출기업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환율 안정이 굉장히 중요한 상황을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이 언론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는 일본의 인위적 엔저정책으로 인해 국내 기업의 수출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는 등 피해가 현실화되는 상황에 대해 적극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박 대변인은 이같은 박 당선인의 발언이 환율시장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개입의사를 내보인 것으로 해석되자, “기업인들이 ‘관심을 가져달라’는 주문에 대한 답이었다”며 “그야말로 환율의 안정을 위해 큰 관심을 갖고 노력하겠다는 원칙적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당선인은 “앞으로 경총과 한국노총, 경영자 대표와 노동자 대표와 긴밀하게 파트너십을 유지하면서 이 두 단체와 노동문제를 협의하겠다”며 ‘한국형 노사협력 모델’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박 당선인은 대화를 통한 상생을 노사문제 해결의 대원칙으로 제시한 뒤 노사자율의 원칙 존중, 극단적 불법투쟁 개선을 2가지 조건으로 내세웠다.
그는 “노와 사가 스스로 문제를 자율적으로 풀 수 있도록 최대한 자율원칙을 존중하겠다”며 “경우에 따라 양쪽 모두 양보하거나 희생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극단적인 불법투쟁, 잘못된 관행은 반드시 개선해 가도록 하겠다”며 “그래서 법과 질서가 존중되는 노사관계가 형성되도록, 그런 문화가 되도록 해가겠다. 불법적인 관행들은 이제 바로잡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