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6일 오후 본회의를 열어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지명된 정홍원<사진> 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을 처리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정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청와대에서 임명장을 수여하고, 신임 정 총리도 공식 업무에 들어갔다.
정 총리 임명동의안은 272명이 무기명 표결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 197표, 반대 67표, 무효 8표로 가결됐다.
찬성률은 72.4%로 이전의 이명박·노무현·김대중 정부의 초대 총리 찬성률보다 높았다.
김영삼 정부의 황인성 총리는 97.4%(193명 중 188표), 김대중 정부의 김종필 총리는 67.1%(255명 중 171명), 노무현 정부의 고건 총리는 66.3%(246명 중 163명), 이명박 정부의 한승수 총리는 64.4%(270명 중 174명)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다만 황인성 총리의 경우 야당이 전원 불참한 가운데 거대 여당이 단독으로 표결한 것이어서 찬성률이 높았다.
이에 앞서 국회 인사청문특위(위원장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는 본회의 직전 전체회의를 열어 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인사청문특위는 여야 합의로 작성된 보고서에서 “그동안의 경험과 합리적인 역사인식으로 전체적인 현안을 이해하고, 책임총리로서의 국정 수행의지가 강하다는 점에서 새 정부 국무총리에 요청되는 기본적인 능력과 자질을 갖췄다는 평가가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인사청문특위는 그러나 야당에서 주장한대로 “국정 현안에 대한 이해도 부족이 드러나 총리로서 행정 각부 통할 등의 역할을 수행할지 의문이며, 전관예우 의혹, 위장전입 및 부동산투기 의혹 등이 불성실한 자료 제출로 충분히 해명되지 못한 점 등은 총리로서 미흡하다”는 부정적 평가도 함께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