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정부조직 개편안의 국회 처리를 놓고 한치의 양보없는 대치속에 상호 책임공방 만을 거듭했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26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민주통합당이 정부조직 개편에 발목을 잡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민주당이 지금 하는 행태를 국민이 더이상 용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과제가 창조경제·일자리 만들기인데, 발목이 잡혀있다는 것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철학을 바꿔라, 국민이 원하는 분야에서 속도를 내지 말라’는 얘기와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회 전체를 볼 때 이대로 가다가는 ‘식물국회 아니냐, 살아있는 것 같기도 하고 죽어있는 것 같기도 한 좀비국회 아니냐’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며 “이제는 국민에게 직접 부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압박했다.
이에 맞서 민주통합당도 “정부 여당이 자승자박하며 스스로 발목을 잡고 있다”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정말 발목잡기를 하려고 했다면 위장전입, 아들 병역 문제, 부동산 투기 등의 의혹이 제기된 정홍원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자유표결’로 처리하려고 했겠느냐”면서 “대통령의 눈치만 보느라 무력한 새누리당이 발상전환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현재 정부조직 개편안 협상의 최대 쟁점인 방송통신위원회의 기능 이관 문제와 관련, “방송의 공공성을 보장하겠다면서 방송 인허가권을 미래창조과학부로 가져가려는 것은 방송을 정권의 시녀로 만들려는 전략으로밖에 안 보인다”며 ‘방송정책의 방통위 존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윤관석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야당이 (정부조직 개편안의) 99%를 수용했는데 정부 여당이 마지막 1%인 방송정책 분야까지 야당에 양보하라고 압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거들었다.